학술논문
뇌성마비 아동의 인지능력과 수용어휘력 및 말산출능력 간의 관계
이용수 128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among Cognition, Receptive Vocabulary and Speech Production Skill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정필연 심현섭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8. no.3, 620~630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Speech Language Profile Group (SLPG) 하위그룹 간 뇌성마비 아동의 인지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 수용어휘력 및 말산출능력과의 관련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4-16세 뇌성마비 아동 40명(경직형 31명, 불수의운동형 3명, 실조형 2명, 혼합형 4명)으로 말·언어문제가 없는 NSMI-LCT 10명, 말문제는 없지만 언어문제가 있는 NSMI-LCI 7명, 말문제가 있지만 언어문제는 없는 SMI-LCT 11명, 말·언어문제가 있는 SMI-LCI 그룹 12명이 참여하였다. 동작성 지능검사, 수용어휘력 검사, 모음연장발성, 아동용 발음평가, 문장 따라말하기 검사를 통해 뇌성마비 아동의 인지능력, 수용어휘력, 음성강도, 말명료도 및 말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인지능력은 NSMI-LCT와 SMI-LCI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뇌성마비 아동의인지능력은 수용어휘력 및 말속도와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논의 및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평가 및 중재 시 뇌성마비 아동의 복합적인 요구를 이해하고, 다면적인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cogni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based on a Speech, Language Profile Group (SLPG), and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cognition, receptive vocabulary, and speech production skills. Methods: Forty children aged 4-16 years with CP, 10 with no speech motor involvement and age-appropriate language ability (NSMI-LCT), 7 with no speech motor involvement and impaired language ability (NSMI-LCI), 11 with speech motor involvement and age-appropriate language ability (SMI-LCT), and 12 with speech motor involvement and impaired language ability (SMI-LCI) participated in the study (spastic 31, dyskinetic 3, ataxic 2, mixed 4). To evaluate cognitive ability, language ability, and speech production skill,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K-WISC-III or K-WIPPSI, receptive vocabulary test, prolonged vowel /a/, Assessmen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 for Children, and carrier phrases repetition task. Results: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NSMI-LCT and SMI-LCI groups in cognitive abilities. Moreover, cognitive abilities in children with CP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receptive vocabulary and speech rate.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cognition has an internal relationship with receptive vocabulary and speech production skills. Therefore cognition, language, and speech ability are important factors in th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CP. This study suggest that multidimensional considerations are crucial in evaluating and intervening in children with CP.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부모의 양적 및 질적 언어입력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 말더듬 출현율과 발생률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 읽기이해부진 학생과 일반 학생의 추론 능력 차이 분석
- 근긴장성 발성장애 환자의 후두마사지 효과
- 뇌성마비 아동의 인지능력과 수용어휘력 및 말산출능력 간의 관계
- 의미 자질 중재를 위한 한국어 명사 및 동사 의미 자질 데이터베이스 구축
- 화자의 마스크 착용이 취학전 청각장애 아동의 감정발화 지각에 미치는 영향
- 말더듬 집단과 일반 집단의 연령별 의사소통태도에 대한 메타분석연구
-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간 자극 양식에 따른 포인팅 음운기억 과제 수행력 차이
- 한국어 조음복잡성 지표-수정판(K-IPC-R)의 개발과 적용 연구
- 1-2세 일반 아동의 구어 모방 능력
- AAC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및 사용성 평가를 위한 성과지표 개발
- 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를 이용하는 성인의 의사소통 요구 및 기능 조사
- 구체적인 단서와 추상적인 단서가 마비말장애 발화의 명료도에 미치는 영향
- 정상 성인의 노화과정에서 시-청각 및 문맥 정보가 청각적 단어재인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1학년 발달성 난독 고위험군 아동의 낱말 읽기 및 쓰기 발달
- 학교폭력 피해에 있어 아동의 화용언어능력, 부모의 자녀학대, 교사-아동 관계의 관련성
- 인스턴트 메신저 대화 상황에서 이모티콘 단서에 따른 학령기 아동의 간접화행 이해 능력
- 시선추적기를 활용한 7-8세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들의 얼굴표정에 대한 정서인식 특성 분석
- 2-6세 영유아의 자발화에서의 연결어미 사용 발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