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폭력 피해에 있어 아동의 화용언어능력, 부모의 자녀학대, 교사-아동 관계의 관련성
이용수 139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Pragmatic Language Competence, Parental Child Abuse,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in School Bullying: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in Four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이은주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8. no.3, 461~47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학교폭력 피해에 있어 아동화용언어능력과 부모의 아동학대, 교사-아동 관계의 관련성을 성별 집단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방법: 한국육아정책연구소의 대규모 종단연구인 한국아동패널연구(PSKC)에 참여한 초등학교 4학년 남학생 340명(34.41%), 여학생 648명(65.59%)을 대상으로 아동화용언어능력(CPLC), 부모의 아동학대(PCAQ), 교사-아동 관계(STRS)의 하위 영역과 학교폭력 피해(OBVQ-R)의 7개 하위 영역(신체폭력, 집단 따돌림, 언어폭력, 괴롭힘, 금품갈취, 위협이나 협박, 성추행)에 대한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남학생의 경우는 의사소통 기능과 담화능력을 상황에 따라 잘 조절하는 것이 교사-아동 관계에 있어 친밀도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는 있지만, 학교폭력 피해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부모의 신체적이건 정신적인 학대가 남학생의 또래 학교폭력 피해와 관련이 없었다. 반면에 여학생의 경우는 부모의 정서적인 학대가 학교폭력 여/부에, 그리고 비언어적 의사소통능력과 의사소통 기능, 부모의 정서적인 학대가 또래 학교폭력 피해 정도(빈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였다. 논의 및 결론: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있어 이번 연구결과를 적용한다면 남학생과 여학생을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먼저 여학생의 경우는 특히 비언어적 의사소통능력이 교사와 또래, 부모와의 관계에서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남학생의 경우는 담화능력과 의사소통기능, 상황에 따른 조절 및 적용능력과 같은 직접적인 화용언어 기술이 교사와의 친밀도와 또래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pragmatic language competence, parental child abuse,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in school bullying was examined by gender group. Methods: 340 fourth-grade boys (34.41%) and 648 girls (65.59%) who participated in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were analyzed for child pragmatic language competence (CPLC), parent-child abuse (PCAQ), teacher-child relationship (STRS), Revised Olweus Bully/Victim Questionnaire (OBVQ-R). Results: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controlling their Communication function and Discourse management according to contextual variation can help maintain intimacy in teacher-child relationships, but it does not affect school bullying. In addition, physical or mental abuse by parents was not related to the damage of male students’ peer school bullying.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emotional abuse of parents was a major variable that significantly affected the degree of damage (frequency) of peer school violence, as well as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and communication functions. Conclusion: I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pplied to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chool bullying prevention programs, it would be desirable to distinguish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First,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it was confirmed that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were especially import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ers, and parents. And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direct verbal skills such as discourse management, communication function, and contextual variation ability according to the situation seem to affect intimacy with teachers and peer school bullying.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부모의 양적 및 질적 언어입력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 말더듬 출현율과 발생률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 읽기이해부진 학생과 일반 학생의 추론 능력 차이 분석
- 근긴장성 발성장애 환자의 후두마사지 효과
- 뇌성마비 아동의 인지능력과 수용어휘력 및 말산출능력 간의 관계
- 의미 자질 중재를 위한 한국어 명사 및 동사 의미 자질 데이터베이스 구축
- 화자의 마스크 착용이 취학전 청각장애 아동의 감정발화 지각에 미치는 영향
- 말더듬 집단과 일반 집단의 연령별 의사소통태도에 대한 메타분석연구
-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간 자극 양식에 따른 포인팅 음운기억 과제 수행력 차이
- 한국어 조음복잡성 지표-수정판(K-IPC-R)의 개발과 적용 연구
- 1-2세 일반 아동의 구어 모방 능력
- AAC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및 사용성 평가를 위한 성과지표 개발
- 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를 이용하는 성인의 의사소통 요구 및 기능 조사
- 구체적인 단서와 추상적인 단서가 마비말장애 발화의 명료도에 미치는 영향
- 정상 성인의 노화과정에서 시-청각 및 문맥 정보가 청각적 단어재인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1학년 발달성 난독 고위험군 아동의 낱말 읽기 및 쓰기 발달
- 학교폭력 피해에 있어 아동의 화용언어능력, 부모의 자녀학대, 교사-아동 관계의 관련성
- 인스턴트 메신저 대화 상황에서 이모티콘 단서에 따른 학령기 아동의 간접화행 이해 능력
- 시선추적기를 활용한 7-8세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들의 얼굴표정에 대한 정서인식 특성 분석
- 2-6세 영유아의 자발화에서의 연결어미 사용 발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