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AC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및 사용성 평가를 위한 성과지표 개발
이용수 149
- 영문명
-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for AAC Application Design and Usability Evaluation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백경랑 김경양 박은혜 김영태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8. no.3, 567~58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과학 기술 진보와 함께 다양한 AAC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AAC 사용자는 자신의 특성 및 요구에 맞는 AAC를 찾고자 한다. AAC 성과지표는 AAC에 대한 사용성 평가와 함께 사용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만족도를 측정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AC 사용자및주변관련인이 AAC 앱을 다각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성과지표를 개발하게 되었다. 방법: 모바일 앱 및 사용성 평가 관련 선행연구 및 기존 사용성 평가들을 분석하여 키워드를 추출하였으며, 그를 바탕으로 성과지표 문항을 개발하였다. 전문가 타당도 및 AAC 사용자·주변관련인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문항수를 조정하고 타당도 및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성과지표 문항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 분석 결과는 워드 클라우드의 형태로 시각화하였으며, AAC 사용자와 관련된 단어가 여러 연구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AAC 앱 성과지표에 대한 신뢰도 평가 결과, Cronbach’s α 값 .9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내용타당도 실시 결과, 전문가 타당도는 S-CVI가 .978, AAC 사용자 및 주변관련인 설문조사에서는 .754로 나타났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한 구인타당도 실시 결과, 모든 변수는 .4 이상의 공통성을 보였으며, 문항들은 사용성, 사회적 의사소통, 사용자 중심 설계, 적용, 역량 강화의 5개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논의 및 결론: AAC 앱 성과지표는 사용자 중심으로 개발 및 활용되어야 하며, 주변관련인들의 의견과 다양한 요인을 포함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With advancements i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rogress, various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applications (apps) have been developed. AAC users require AAC systems that align with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needs. AAC performance indicators, which encompass usability evaluation, aim to measure communication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These indicators can be utilized to assist AAC users in selecting appropriate AAC system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erformance indicators that would allow AAC users and stakeholders to evaluate AAC apps from multiple perspectives. Methods: Mobile apps and usability evaluations in prior studies were analyzed to extract keywords. Performance indicator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is analysis. Expert validity was evaluated, and a survey of AAC users and stakeholders was done to adjust the number of items included and measure validity and reliability. Results: The analysis of prior studies for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 items was visualized in the form of a word cloud. The reliability assessment of AAC app performance indicators yielded a Cronbach’s α value of 0.9 or higher. Regarding content validity, the expert validity showed an S-CVI of 0.978, while the survey with AAC users and stakeholders resulted in 0.754.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assess construct validity, revealing that all variables demonstrated a communalities value of 0.4 or higher. The items were categorized into five factors: usability, social communication, user-centered design, adoption, and empowerment. Conclusion: AAC app performance indicators should be user-centered, incorporating diverse perspectives and evaluating various aspects of app usage.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부모의 양적 및 질적 언어입력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 말더듬 출현율과 발생률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 읽기이해부진 학생과 일반 학생의 추론 능력 차이 분석
- 근긴장성 발성장애 환자의 후두마사지 효과
- 뇌성마비 아동의 인지능력과 수용어휘력 및 말산출능력 간의 관계
- 의미 자질 중재를 위한 한국어 명사 및 동사 의미 자질 데이터베이스 구축
- 화자의 마스크 착용이 취학전 청각장애 아동의 감정발화 지각에 미치는 영향
- 말더듬 집단과 일반 집단의 연령별 의사소통태도에 대한 메타분석연구
-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간 자극 양식에 따른 포인팅 음운기억 과제 수행력 차이
- 한국어 조음복잡성 지표-수정판(K-IPC-R)의 개발과 적용 연구
- 1-2세 일반 아동의 구어 모방 능력
- AAC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및 사용성 평가를 위한 성과지표 개발
- 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를 이용하는 성인의 의사소통 요구 및 기능 조사
- 구체적인 단서와 추상적인 단서가 마비말장애 발화의 명료도에 미치는 영향
- 정상 성인의 노화과정에서 시-청각 및 문맥 정보가 청각적 단어재인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1학년 발달성 난독 고위험군 아동의 낱말 읽기 및 쓰기 발달
- 학교폭력 피해에 있어 아동의 화용언어능력, 부모의 자녀학대, 교사-아동 관계의 관련성
- 인스턴트 메신저 대화 상황에서 이모티콘 단서에 따른 학령기 아동의 간접화행 이해 능력
- 시선추적기를 활용한 7-8세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들의 얼굴표정에 대한 정서인식 특성 분석
- 2-6세 영유아의 자발화에서의 연결어미 사용 발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