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를 이용하는 성인의 의사소통 요구 및 기능 조사
이용수 121
- 영문명
- Survey on Communication Needs and Functions of Adults Using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이은혜 신상은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8. no.3, 554~566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하여 뇌성마비와 발달장애 성인이 필요로 하는 의사소통 요구와 의사소통 기능을 활동지원 영역별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뇌성마비 또는 발달장애 성인에게 도움을 제공한 경험이 있는 활동지원사 30명을 대상으로 뇌성마비 성인 집단 15명과 발달장애 성인 집단 15명으로 나누어 9개의 활동지원영역(개인위생 관리, 신체 기능 유지 증진, 식사 도움, 실내이동 도움, 청소 및 주변 정돈, 세탁, 취사, 등하교 및 출퇴근 지원, 외출 시 동행)과 6개의 의사소통 기능(요구하기, 반응하기, 객관적 언급, 주관적 진술, 메시지 수신, 대화내용 구성요소)에 대해 의사소통 요구도를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평정하도록 하였다. 결과: 뇌성마비 집단의 의사소통 요구도가 발달장애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활동지원 영역에 따른 주효과와 장애 유형과 활동지원 영역과의 상호작용 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뇌성마비 집단은 활동지원 영역에 따른 의사소통 요구의 차이가 없었으나, 발달장애 집단은 외출 시 동행에서 신체 기능 유지 증진과 실내이동 도움보다 높은 의사소통 요구를 보였다. 의사소통 기능에서도 뇌성마비 집단의 요구도가 발달장애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두 집단 모두 의사소통 기능들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장애의 유형과 활동지원 영역에 따른 의사소통의 요구와 기능 및 의사소통지원에 대해논의가 이루어졌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ommunication needs and communication functions required by adults with cerebral palsy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various activity support areas, with the goal of enhancing the effective operation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Methods: A total of 30 personal assistants, who had experience assisting adults with communication difficulties due to cerebral palsy 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15 adults with cerebral palsy and 15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y were assessed for communication needs using a 5-point Likert scale across nine areas of activity support (Personal hygiene, Body functions, Meal support, Moving indoors, Cleaning, Laundry, Cooking, Commuting, and Going out) and six communication functions (Requests, Responds, Objective comments, Statements, Acknowledge, and Organization devices). Results: The communication needs of the cerebral palsy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group, with a main effect of the activity support domain an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disability type and activity support domain. While the cerebral palsy group did not differ in communication needs across the activity support domains,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group had higher communication needs in the going out domain than in the body functions and moving indoors domains. The cerebral palsy group had higher scores in the communication functions than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group, but neither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ores between types of communication functions. Conclusion: Communication needs and functions and the need for communication support were discussed according to disability type and activity support domain.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부모의 양적 및 질적 언어입력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 말더듬 출현율과 발생률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 읽기이해부진 학생과 일반 학생의 추론 능력 차이 분석
- 근긴장성 발성장애 환자의 후두마사지 효과
- 뇌성마비 아동의 인지능력과 수용어휘력 및 말산출능력 간의 관계
- 의미 자질 중재를 위한 한국어 명사 및 동사 의미 자질 데이터베이스 구축
- 화자의 마스크 착용이 취학전 청각장애 아동의 감정발화 지각에 미치는 영향
- 말더듬 집단과 일반 집단의 연령별 의사소통태도에 대한 메타분석연구
-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간 자극 양식에 따른 포인팅 음운기억 과제 수행력 차이
- 한국어 조음복잡성 지표-수정판(K-IPC-R)의 개발과 적용 연구
- 1-2세 일반 아동의 구어 모방 능력
- AAC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및 사용성 평가를 위한 성과지표 개발
- 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를 이용하는 성인의 의사소통 요구 및 기능 조사
- 구체적인 단서와 추상적인 단서가 마비말장애 발화의 명료도에 미치는 영향
- 정상 성인의 노화과정에서 시-청각 및 문맥 정보가 청각적 단어재인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1학년 발달성 난독 고위험군 아동의 낱말 읽기 및 쓰기 발달
- 학교폭력 피해에 있어 아동의 화용언어능력, 부모의 자녀학대, 교사-아동 관계의 관련성
- 인스턴트 메신저 대화 상황에서 이모티콘 단서에 따른 학령기 아동의 간접화행 이해 능력
- 시선추적기를 활용한 7-8세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들의 얼굴표정에 대한 정서인식 특성 분석
- 2-6세 영유아의 자발화에서의 연결어미 사용 발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