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구체적인 단서와 추상적인 단서가 마비말장애 발화의 명료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9

영문명
Speech Intelligibility Improvement with Concrete and Abstract Auditory Cue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김현승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8. no.3, 536~553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8명의 정상 성인 남성들과 8명의 마비말장애 성인 남성들이 청각적인 단서 환경에 따라 10가지 음향학적인 변수들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명료도에 영향을 받는 음향학적인 변수들의 분석을 위해 한국어 9가지 파열음이 무의미 이음절 단어 수준에서 산출되었다. 무단서 환경의 지시어로는 “가능한 한 편안한 속도와 크기로 말하세요.”가, 구체단서 지시어로는 “가능한 한 크고 느리게 말하세요.”가, 추상단서 지시어로는 “가능한 한 명료하고 정확하게 말하세요.”가 사용되었다. 결과: 연구결과 그룹 간 차이는 단서 없는 환경보다 단서 환경, 특히 추상단서 환경에서 줄어들었다. 단서 환경에 따라, 정상군은 음도나 길이를 조절하는 반면, 마비말장애군은 모음 및 음절 길이나 폐쇄구간 비율을 조절하고, 기식구간 길이는 변경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마비말장애군이 단서 없는 환경에서 이미 음도 증가를 명료화 전략의 하나로 사용하고 있다고 추측되었다. 마비말장애군은 단서 환경에 따라 음향학적인 측정치의 길이 변화 외에는 다른 변화를 유의미하게 가지지 못하지만, 추상단서 환경에서 정상군과 차이가사라지는 결과는 무단서 환경에서 마비말장애군이 이미 명료화 전략을 사용한다는 것과 분절적인 정보, 특히 음향 정보의 상대적인 관계성을 마비말장애군도 유지하려 노력함을 시사하였다. 구체단서와 비교하여 추상단서가 더 자연스러운 발화를 유도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several acoustic parameters to determine intelligibility strategies implemented by eight normal healthy individuals (NHI) and eight individuals with dysarthria (IWD) following concrete and abstract auditory speech cues. Methods: Ten acoustic parameters reportedly sensitive to intelligibility chang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ose included fundamental frequency (f0), vowel duration, vowel-consonant-vowel syllable duration, closure duration, aspiration duration, the ratio of closure duration to closure and aspiration combined duration, the 1st & 2nd formant (F1, F2) consonant-to-vowel (C/V) ratio, and the F2 slope. They were compared in three different auditory speech cue conditions: No cue (NC), Concrete cue (CC), and Abstract cue (AC) conditions. Results: IWD showed higher values in most of the measurements compared to the NHI group. Group differences appeared in seven out of ten measurements in the NC condition. Such group differences only appeared in the closure duration and the closure duration ratio in the CC condition. Group difference disappeared in the AC condit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while NHI manipulated pitch and durational aspects of speech to increase intelligibility, IWD manipulated only the durational aspect in the cue conditions. Conclusion: The pitch might already be heightened while IWD implement clear speech strategy regardless of the cue condition. The aspiration duration was unaffected by cue or group condition. Participants reduced group differences on the relational measurements (F2 C/V ratio or F2 slope) after cues suggesting that IWD maintained the ability to control relational aspects of speech because they are critical for distinctive stop production. Abstract cues appeared to make IWD’s speech closer to NHI.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승. (2023).구체적인 단서와 추상적인 단서가 마비말장애 발화의 명료도에 미치는 영향.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8 (3), 536-553

MLA

김현승. "구체적인 단서와 추상적인 단서가 마비말장애 발화의 명료도에 미치는 영향."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8.3(2023): 536-5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