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체적인 단서와 추상적인 단서가 마비말장애 발화의 명료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18
- 영문명
- Speech Intelligibility Improvement with Concrete and Abstract Auditory Cue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현승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8. no.3, 536~553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8명의 정상 성인 남성들과 8명의 마비말장애 성인 남성들이 청각적인 단서 환경에 따라 10가지 음향학적인 변수들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명료도에 영향을 받는 음향학적인 변수들의 분석을 위해 한국어 9가지 파열음이 무의미 이음절 단어 수준에서 산출되었다. 무단서 환경의 지시어로는 “가능한 한 편안한 속도와 크기로 말하세요.”가, 구체단서 지시어로는 “가능한 한 크고 느리게 말하세요.”가, 추상단서 지시어로는 “가능한 한 명료하고 정확하게 말하세요.”가 사용되었다. 결과: 연구결과 그룹 간 차이는 단서 없는 환경보다 단서 환경, 특히 추상단서 환경에서 줄어들었다. 단서 환경에 따라, 정상군은 음도나 길이를 조절하는 반면, 마비말장애군은 모음 및 음절 길이나 폐쇄구간 비율을 조절하고, 기식구간 길이는 변경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마비말장애군이 단서 없는 환경에서 이미 음도 증가를 명료화 전략의 하나로 사용하고 있다고 추측되었다. 마비말장애군은 단서 환경에 따라 음향학적인 측정치의 길이 변화 외에는 다른 변화를 유의미하게 가지지 못하지만, 추상단서 환경에서 정상군과 차이가사라지는 결과는 무단서 환경에서 마비말장애군이 이미 명료화 전략을 사용한다는 것과 분절적인 정보, 특히 음향 정보의 상대적인 관계성을 마비말장애군도 유지하려 노력함을 시사하였다. 구체단서와 비교하여 추상단서가 더 자연스러운 발화를 유도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several acoustic parameters to determine intelligibility strategies implemented by eight normal healthy individuals (NHI) and eight individuals with dysarthria (IWD) following concrete and abstract auditory speech cues. Methods: Ten acoustic parameters reportedly sensitive to intelligibility chang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ose included fundamental frequency (f0), vowel duration, vowel-consonant-vowel syllable duration, closure duration, aspiration duration, the ratio of closure duration to closure and aspiration combined duration, the 1st & 2nd formant (F1, F2) consonant-to-vowel (C/V) ratio, and the F2 slope. They were compared in three different auditory speech cue conditions: No cue (NC), Concrete cue (CC), and Abstract cue (AC) conditions. Results: IWD showed higher values in most of the measurements compared to the NHI group. Group differences appeared in seven out of ten measurements in the NC condition. Such group differences only appeared in the closure duration and the closure duration ratio in the CC condition. Group difference disappeared in the AC condit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while NHI manipulated pitch and durational aspects of speech to increase intelligibility, IWD manipulated only the durational aspect in the cue conditions. Conclusion: The pitch might already be heightened while IWD implement clear speech strategy regardless of the cue condition. The aspiration duration was unaffected by cue or group condition. Participants reduced group differences on the relational measurements (F2 C/V ratio or F2 slope) after cues suggesting that IWD maintained the ability to control relational aspects of speech because they are critical for distinctive stop production. Abstract cues appeared to make IWD’s speech closer to NHI.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마비말장애
말 명료도
단서 효과
한국어 파열음
음향학적인 특성(기본주파수(f0)
모음 길이
음절 길이
폐쇄구간
기식구간
폐쇄구간 비율
포먼트 자음-모음 비율
포먼트 전이 경사)
Dysarthria
Speech intelligibility
The effect of auditory cues
Korean stops
Acoustic characteristics (Fundamental frequency (f0)
Vowel duration
Syllable duration
Closure duration
Aspiration duration
Closure duration ratio
Formant consonant-to-vowel ratio
F2 slop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부모의 양적 및 질적 언어입력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 말더듬 출현율과 발생률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 읽기이해부진 학생과 일반 학생의 추론 능력 차이 분석
- 근긴장성 발성장애 환자의 후두마사지 효과
- 뇌성마비 아동의 인지능력과 수용어휘력 및 말산출능력 간의 관계
- 의미 자질 중재를 위한 한국어 명사 및 동사 의미 자질 데이터베이스 구축
- 화자의 마스크 착용이 취학전 청각장애 아동의 감정발화 지각에 미치는 영향
- 말더듬 집단과 일반 집단의 연령별 의사소통태도에 대한 메타분석연구
-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간 자극 양식에 따른 포인팅 음운기억 과제 수행력 차이
- 한국어 조음복잡성 지표-수정판(K-IPC-R)의 개발과 적용 연구
- 1-2세 일반 아동의 구어 모방 능력
- AAC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및 사용성 평가를 위한 성과지표 개발
- 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를 이용하는 성인의 의사소통 요구 및 기능 조사
- 구체적인 단서와 추상적인 단서가 마비말장애 발화의 명료도에 미치는 영향
- 정상 성인의 노화과정에서 시-청각 및 문맥 정보가 청각적 단어재인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1학년 발달성 난독 고위험군 아동의 낱말 읽기 및 쓰기 발달
- 학교폭력 피해에 있어 아동의 화용언어능력, 부모의 자녀학대, 교사-아동 관계의 관련성
- 인스턴트 메신저 대화 상황에서 이모티콘 단서에 따른 학령기 아동의 간접화행 이해 능력
- 시선추적기를 활용한 7-8세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들의 얼굴표정에 대한 정서인식 특성 분석
- 2-6세 영유아의 자발화에서의 연결어미 사용 발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