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선추적기를 활용한 7-8세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들의 얼굴표정에 대한 정서인식 특성 분석

이용수 44

영문명
Characteristics of Facial Emotion Recognition in Children Aged 7-8 with High-Functioning ASD Using an Eye-Tracker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임다혜 홍경훈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8. no.3, 435~449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HF-ASD) 아동들이 나타내는 또래의 얼굴표정에 대한 정서인식 특성을 시선응시 패턴 측면에서 살펴보고 일반(TD) 아동과 비교하여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방법: 7-8세 HF-ASD 아동 10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TD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아동들은 4가지 기본정서(기쁘다, 슬프다, 화나다, 놀랍다)에 대해 두 가지 자극유형(사진, 동영상)으로 구성된 정서인식 과제를 실시하였으며, 과제를 실시하는 동안 시선추적기를 사용하여 시선응시 패턴을 측정하였다. 정서인식 정반응률과 시선고정비율 및 열지도를 분석하였으며,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HF-ASD 집단이 TD 집단보다 정서인식 전체 정반응률과 정서유형 중 ‘화나다’에서 유의하게 낮은 인식을 보였다. 사진과 동영상에 따른 정반응률에서 두 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과 정서유형 및 AOI 간 상호작용 효과가 없었으며, TD 집단에서만 정서유형과 AOI 간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다. HF-ASD 집단은 TD 집단에 비해 눈보다 입에 시선을 고정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얼굴의 핵심적이지 않은 영역을 더 많이 보았다. 또한 이러한 시선응시 패턴이 정서유형별 정반응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해 HF-ASD 아동들이 얼굴표정에서 나타나는 정서를 인식하는 능력에 결함이 있으며, 일반 아동과 다른 시선응시 패턴을 보임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HF-ASD 아동의 정서인식 결함이 시선응시 특성과 연관이 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peer’s facial emotion recognition (FER)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HF-ASD) through gaze pattern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through comparison with typically developing (TD childre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0 children with HF-ASD aged 7-8 years and 10 children with TD matched on chronological age. Children performed FER tasks consisting of two types of stimuli (static, dynamic) for four basic emotions (happy, sad, anger, surprise) and their eye movement were measured while they performed the task using an eye-tracker. The emotion recognition accuracy, proportion of fixation, and heatmap were analyzed,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The HF-ASD group performed significantly poorer than the TD group in overall emotion recognition and made significantly more errors only in ang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 recognition between static and dynamic stimuli in both groups.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 and emotion type and areas of interest (AOI). Only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emotion type and AOI was significant in the TD group. The HF-ASD group tended to look more at the mouth than the eyes and look relatively more at non-feature area of the faces compared to the TD group. These gaze patterns seem to affect the accuracy depending on emotion types. Conclusion: Children with HF-ASD have deficits in FER and show gaze patterns different with TD pe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deficit in FER of children with HF-ASD is related to gaze pattern.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다혜,홍경훈. (2023).시선추적기를 활용한 7-8세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들의 얼굴표정에 대한 정서인식 특성 분석.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8 (3), 435-449

MLA

임다혜,홍경훈. "시선추적기를 활용한 7-8세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들의 얼굴표정에 대한 정서인식 특성 분석."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8.3(2023): 435-4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