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상 성인의 노화과정에서 시-청각 및 문맥 정보가 청각적 단어재인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78
- 영문명
- Effects of Audio-visual and Contextual Information on Auditory Word Recognition Performance in Normal Aging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조유정 하지완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8. no.3, 522~535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연령 집단 간 시각, 청각, 문맥 정보에 따른 청각적 단어재인 과제 수행력을 비교함으로써, 정상 성인의 노화과정에서 해당 변수들이 청각적 이해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청년, 중년, 장년, 노년층에 해당하는 정상 성인 각 20명씩을 대상으로 청각적 단어재인 과제를 실시하여 정반응 점수를 비교하고 오류반응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표준화 읽기검사인 RDA 읽기진단평가의 듣기이해 점수와 청각적 단어재인 과제 수행력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청각적 단어재인 점수에 대해 집단 간 주효과, 청각 및 문맥 정보에 따른 집단 내 효과가 유의하였고, 청각 정보와 집단 간, 문맥 정보와 집단 간, 청각 정보와 문맥정보 간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였다. 장년 집단과 노년 집단은비관련 오류, 형태 오류, 혼합 오류, 의미 오류순으로 오류를 많이 보였고, 두 집단 간 오류 양상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RDA 읽기진단평가의 듣기이해 점수와 청각적 단어재인 과제 수행력 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정상 성인도 노화가 진행됨에 청각적 단어재인 수행력이 저하되며, 소음 동반과 저문맥 문장과 같은 특정 조건에서는 그 어려움이 더욱 두드러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compared performance on an auditory word recognition task with different visual, auditory, and contextual information across age groups to determine how these variables affect auditory comprehension in normal aging. Methods: We conducted an auditory word recognition task with 20 normal adults from each of the following age groups: young, middle-aged, old, and elderly, and compared their correct response scores and analyzed their error responses. We also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core of auditory comprehension in Reading Diagnostic Assessment, RDA and the performance of the auditory word recognition task.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between-group main effect, as well as within-group main effects of auditory and contextual information, and interaction effects between auditory information and group, contextual information and group, and auditory information and contextual information. The old and elderly groups made more errors in the following order of error types: unrelated errors, formal errors, mixed errors, and semantic error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rror patterns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DA and the auditory word recognition task.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at auditory word recognition performance declines with aging in normal adults, and that difficulties may be more pronounced under certain conditions, such as noise and low contextual sentence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부모의 양적 및 질적 언어입력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 말더듬 출현율과 발생률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 읽기이해부진 학생과 일반 학생의 추론 능력 차이 분석
- 근긴장성 발성장애 환자의 후두마사지 효과
- 뇌성마비 아동의 인지능력과 수용어휘력 및 말산출능력 간의 관계
- 의미 자질 중재를 위한 한국어 명사 및 동사 의미 자질 데이터베이스 구축
- 화자의 마스크 착용이 취학전 청각장애 아동의 감정발화 지각에 미치는 영향
- 말더듬 집단과 일반 집단의 연령별 의사소통태도에 대한 메타분석연구
-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간 자극 양식에 따른 포인팅 음운기억 과제 수행력 차이
- 한국어 조음복잡성 지표-수정판(K-IPC-R)의 개발과 적용 연구
- 1-2세 일반 아동의 구어 모방 능력
- AAC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및 사용성 평가를 위한 성과지표 개발
- 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를 이용하는 성인의 의사소통 요구 및 기능 조사
- 구체적인 단서와 추상적인 단서가 마비말장애 발화의 명료도에 미치는 영향
- 정상 성인의 노화과정에서 시-청각 및 문맥 정보가 청각적 단어재인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1학년 발달성 난독 고위험군 아동의 낱말 읽기 및 쓰기 발달
- 학교폭력 피해에 있어 아동의 화용언어능력, 부모의 자녀학대, 교사-아동 관계의 관련성
- 인스턴트 메신저 대화 상황에서 이모티콘 단서에 따른 학령기 아동의 간접화행 이해 능력
- 시선추적기를 활용한 7-8세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들의 얼굴표정에 대한 정서인식 특성 분석
- 2-6세 영유아의 자발화에서의 연결어미 사용 발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