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간 자극 양식에 따른 포인팅 음운기억 과제 수행력 차이
이용수 135
- 영문명
- Performances of Pointing Phonological Memory Tasks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ech Sound Disorder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정세인 하지완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8. no.3, 608~619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포인팅 반응을 이용한 새로운 음운기억 과제를 개발하고 각 하위 과제의 수행력을 비교하여 말소리장애아동의 음운기억의 취약성을 잘 판별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말소리장애 아동 16명과 일반 아동 14명을 대상으로 자극 양식(청각적, 시각적)에 따른 포인팅 음운단기기억 및 작업기억 과제를 실시하여 그 수행력을 비교하였고, 기존 음운기억 과제(Digit span task)와의 상관관계를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말소리장애 집단은 일반 집단보다 음운단기기억, 음운작업기억 모두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둘째, 말소리장애 집단과 일반 집단 모두 시각 자극보다 청각 자극에서, 음운작업기억보다 음운단기기억 과제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행력을 보였다. 셋째, 일반 집단의 경우 청각 음운단기기억 과제의 수행력이 월등히 좋았고 이를 제외하고 다른 세조건 간 수행력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말소리장애 집단의 경우 청각 자극보다 시각 자극에서, 단기기억보다 작업기억에서 수행력이 저하되는 정도가 유사하였다. 마지막으로, 포인팅 음운기억 과제와 기존 음운기억 과제 수행력, 어휘력, 자음정확도 간 모두 유의하게 다소 높거나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논의 및 결론: 말소리장애 아동의 음운기억 과제 수행력 저하는 조음산출의 부담감 또는 청지각처리능력의 취약함으로 인한 것이 아니며, 음운단기기억과 음운작업기억 자체의 결함에 기인한다. 본 연구결과는 말소리장애 집단과 일반 집단 간 자극 양식에 따른 음운기억 과제의 상이한 수행 양상에 대해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A new phonological memory task using pointing responses was developed and the performance of each sub-task was compared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ech sound disorders (SSD). Methods: 16 children with SSD and 14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performed pointing memory tasks, which consists of four sub-tasks—auditory short-term, auditory working, visual short-term, and visual working memory; and performances between groups and between each sub-task were compared.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ew task and the existing task (digit span task), vocabulary sizes and the accuracy of consonants was analyzed. Results: First, the SSD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the pointing memory tasks than the TD group. Second, both the SSD and TD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in auditory stimulation compared with visual stimulation, and in short-term memory than working memory. Third, in the case of the TD group, the performance of the auditory short-term memory task was much better,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other three sub-tasks, while the SSD group showed a sequential decline in performances among the four sub-tasks. Finally,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new task and the existing task, vocabulary sizes, and the accuracy of consonants. Conclusion: The low performance in the phonological memory task of the SSD group is not due to weakness in articulation or in auditory processing, but to defects in phonological short-term/working memory itself.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on the different performance patterns of phonological memory tasks according to stimulus modalities between the SSD and TD group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부모의 양적 및 질적 언어입력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 말더듬 출현율과 발생률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 읽기이해부진 학생과 일반 학생의 추론 능력 차이 분석
- 근긴장성 발성장애 환자의 후두마사지 효과
- 뇌성마비 아동의 인지능력과 수용어휘력 및 말산출능력 간의 관계
- 의미 자질 중재를 위한 한국어 명사 및 동사 의미 자질 데이터베이스 구축
- 화자의 마스크 착용이 취학전 청각장애 아동의 감정발화 지각에 미치는 영향
- 말더듬 집단과 일반 집단의 연령별 의사소통태도에 대한 메타분석연구
-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간 자극 양식에 따른 포인팅 음운기억 과제 수행력 차이
- 한국어 조음복잡성 지표-수정판(K-IPC-R)의 개발과 적용 연구
- 1-2세 일반 아동의 구어 모방 능력
- AAC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및 사용성 평가를 위한 성과지표 개발
- 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를 이용하는 성인의 의사소통 요구 및 기능 조사
- 구체적인 단서와 추상적인 단서가 마비말장애 발화의 명료도에 미치는 영향
- 정상 성인의 노화과정에서 시-청각 및 문맥 정보가 청각적 단어재인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1학년 발달성 난독 고위험군 아동의 낱말 읽기 및 쓰기 발달
- 학교폭력 피해에 있어 아동의 화용언어능력, 부모의 자녀학대, 교사-아동 관계의 관련성
- 인스턴트 메신저 대화 상황에서 이모티콘 단서에 따른 학령기 아동의 간접화행 이해 능력
- 시선추적기를 활용한 7-8세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들의 얼굴표정에 대한 정서인식 특성 분석
- 2-6세 영유아의 자발화에서의 연결어미 사용 발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