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간 자극 양식에 따른 포인팅 음운기억 과제 수행력 차이

이용수 75

영문명
Performances of Pointing Phonological Memory Tasks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ech Sound Disorder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정세인 하지완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8. no.3, 608~619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포인팅 반응을 이용한 새로운 음운기억 과제를 개발하고 각 하위 과제의 수행력을 비교하여 말소리장애아동의 음운기억의 취약성을 잘 판별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말소리장애 아동 16명과 일반 아동 14명을 대상으로 자극 양식(청각적, 시각적)에 따른 포인팅 음운단기기억 및 작업기억 과제를 실시하여 그 수행력을 비교하였고, 기존 음운기억 과제(Digit span task)와의 상관관계를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말소리장애 집단은 일반 집단보다 음운단기기억, 음운작업기억 모두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둘째, 말소리장애 집단과 일반 집단 모두 시각 자극보다 청각 자극에서, 음운작업기억보다 음운단기기억 과제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행력을 보였다. 셋째, 일반 집단의 경우 청각 음운단기기억 과제의 수행력이 월등히 좋았고 이를 제외하고 다른 세조건 간 수행력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말소리장애 집단의 경우 청각 자극보다 시각 자극에서, 단기기억보다 작업기억에서 수행력이 저하되는 정도가 유사하였다. 마지막으로, 포인팅 음운기억 과제와 기존 음운기억 과제 수행력, 어휘력, 자음정확도 간 모두 유의하게 다소 높거나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논의 및 결론: 말소리장애 아동의 음운기억 과제 수행력 저하는 조음산출의 부담감 또는 청지각처리능력의 취약함으로 인한 것이 아니며, 음운단기기억과 음운작업기억 자체의 결함에 기인한다. 본 연구결과는 말소리장애 집단과 일반 집단 간 자극 양식에 따른 음운기억 과제의 상이한 수행 양상에 대해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A new phonological memory task using pointing responses was developed and the performance of each sub-task was compared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ech sound disorders (SSD). Methods: 16 children with SSD and 14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performed pointing memory tasks, which consists of four sub-tasks—auditory short-term, auditory working, visual short-term, and visual working memory; and performances between groups and between each sub-task were compared.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ew task and the existing task (digit span task), vocabulary sizes and the accuracy of consonants was analyzed. Results: First, the SSD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the pointing memory tasks than the TD group. Second, both the SSD and TD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in auditory stimulation compared with visual stimulation, and in short-term memory than working memory. Third, in the case of the TD group, the performance of the auditory short-term memory task was much better,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other three sub-tasks, while the SSD group showed a sequential decline in performances among the four sub-tasks. Finally,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new task and the existing task, vocabulary sizes, and the accuracy of consonants. Conclusion: The low performance in the phonological memory task of the SSD group is not due to weakness in articulation or in auditory processing, but to defects in phonological short-term/working memory itself.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on the different performance patterns of phonological memory tasks according to stimulus modalities between the SSD and TD group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세인,하지완. (2023).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간 자극 양식에 따른 포인팅 음운기억 과제 수행력 차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8 (3), 608-619

MLA

정세인,하지완.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간 자극 양식에 따른 포인팅 음운기억 과제 수행력 차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8.3(2023): 608-6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