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조음복잡성 지표-수정판(K-IPC-R)의 개발과 적용 연구
이용수 87
- 영문명
- Development and Applied Research of Korean-Index of Phonetic Complexity-Revision (K-IPC-R)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이란 한진순 이은주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8. no.3, 595~60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한국어 조음복잡성 지표(K-IPC; Lee et al., 2004)를 초기 음운발달 수준에 있는 아동의 음운능력을 독립분석 방식으로 평가할 수 있는 음운평가 지표로 활용하기 위해 한국어 조음복잡성 지표-수정판(K-IPC-R)으로 수정·보완하였다. 방법: 1세 후반, 2세 전반, 2세 후반 아동 각 20명의 말 표본을 수집하여 발달상 초기에 나타나는 한국어 말소리 산출 특성을 살펴보고, 국내 말소리발달 관련 선행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K-IPC-R의 분석 체계와 배점 기준을 마련하였다. 결과: 자음의 조음위치, 자음의 조음방법, 자음의 발성 유형, 모음 종류, 어절 형태, 어절 길이, 단자음의 조음위치 차이 여부, 자음연쇄의 출현 여부, 자음연쇄 유형이라는 총 9개의 지표로 K-IPC-R을구성하였다. 자음의 조음위치 측면에서는 연구개음, 자음의 조음방법 측면에서는 마찰음, 파찰음, 유음, 자음의 발성유형 측면에서는 격음, 모음의 종류 측면에서는 이중모음에 1점의 가중치를 주는 것으로 배점 기준을 결정하였다. 폐쇄형 어절과 3음절 이상의 어절에 1점을 주고, 어절 내 단자음의 조음위치가 다를 때, 어중종성과 어중초성에서 두 개의 자음이 연쇄될 때, 연쇄된 자음의 조음위치가 다를 때 각 1점을 주도록 배점 기준을 확정하였다. 논의 및 결론: 관계분석 방식으로 음운능력을 평가하기 어려운 초기 음운발달수준에 있는 아동의 음운능력을 독립분석 방식으로 평가할 수 있는 음운평가 지표인 K-IPC-R을 제안한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paper, the Korean-Index of phonetic complexity-revision (K-IPC-R)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o use the Korean-Index of phonetic complexity (K-IPC; Lee, Han, Shim, 2004) as a phonological evaluation index of the independent analysis method. Methods: Speech samples of 20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of 18 to 23 months, 24 to 29 months, and 30 to 35 months of age were collected from each child during spontaneous play. The analizing and scoring criteria of K-IPC-R were devised on the basis of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speech samples an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speech sound development. Results: The K-IPC-R was composed of nine sub-indices: consonant by place class, consonant by manner class, consonant by phonation type, vowel type, shape of syllables, length of syllables, singleton consonants by place variegation, presence of consonant chain, and consonant chain type. The scoring criteria were determined to weight 1 point to velars, fricatives, affricates, liquids, aspirated, diphthongs, closed syllable words, and three or more syllable words. And 1 point is weighted when two or more consonants with different place of articulation are present within a word. Also, 1 point is weighted if a consonant chain appeared and another 1 point is weighted if the place of articulation of the chained consonants are different.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posing the K-IPC-R as a phonological evaluation index of an independent analysis method that can evaluate the phonological ability of children at the initial level of phonological development, whose phonological ability is difficult to evaluate with a relational analysis method.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부모의 양적 및 질적 언어입력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 말더듬 출현율과 발생률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 읽기이해부진 학생과 일반 학생의 추론 능력 차이 분석
- 근긴장성 발성장애 환자의 후두마사지 효과
- 뇌성마비 아동의 인지능력과 수용어휘력 및 말산출능력 간의 관계
- 의미 자질 중재를 위한 한국어 명사 및 동사 의미 자질 데이터베이스 구축
- 화자의 마스크 착용이 취학전 청각장애 아동의 감정발화 지각에 미치는 영향
- 말더듬 집단과 일반 집단의 연령별 의사소통태도에 대한 메타분석연구
-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간 자극 양식에 따른 포인팅 음운기억 과제 수행력 차이
- 한국어 조음복잡성 지표-수정판(K-IPC-R)의 개발과 적용 연구
- 1-2세 일반 아동의 구어 모방 능력
- AAC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및 사용성 평가를 위한 성과지표 개발
- 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를 이용하는 성인의 의사소통 요구 및 기능 조사
- 구체적인 단서와 추상적인 단서가 마비말장애 발화의 명료도에 미치는 영향
- 정상 성인의 노화과정에서 시-청각 및 문맥 정보가 청각적 단어재인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1학년 발달성 난독 고위험군 아동의 낱말 읽기 및 쓰기 발달
- 학교폭력 피해에 있어 아동의 화용언어능력, 부모의 자녀학대, 교사-아동 관계의 관련성
- 인스턴트 메신저 대화 상황에서 이모티콘 단서에 따른 학령기 아동의 간접화행 이해 능력
- 시선추적기를 활용한 7-8세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들의 얼굴표정에 대한 정서인식 특성 분석
- 2-6세 영유아의 자발화에서의 연결어미 사용 발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