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디오필리아, 시네필리아, 뉴 시네필리아

이용수 98

영문명
Videophilia, Cinephilia, New Cinephilia: Certain Tendencies of Korean Cinephiles in the 1990s and the 21st century
발행기관
구보학회
저자명
이선주
간행물 정보
『구보학보』32집, 449~491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한국에서 시네필 담론이 활성화되는 1990년대 이후부터 디지털 전환 및 뉴 미디어 플랫폼의 영향으로 시네필의 개념이 변모 중인 동시대에 이르기까지 최근 30년간 한국 시네필리아의 역사와 특정성을 탐구한다. 예술영화의 제도화 과정에서 이상화된 관객으로 상정된 시네필은 1920년대 프랑스에서 태동해서 1950-1960년대 대안적 문화 실천의 주체로 인식되어 왔다. 한국 영화문화에서 시네필은 1990년대 단순한 수용자로서의 자족적인 영화광이나 독점적이고 딜레탕트적인 문화소비자를 뜻했던 영화마니아와 구별되는 이상적인 주체로 본격적으로 호명되었다. 영화사랑의 주체와 실천방식이 다변화되고 시네필 담론이 미약해진 21세기에 새로운 세대의 시네필들은 기성 세대의 시네필 문화와 유산을 부정하며 새로운 영화문화를 모색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영화문화가 급변하고 있는 시기에 시네필 담론의 공론화는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가까운 역사의 성찰 필요성을 제기한다. 첫째, 서구의 고전적인 시네필과 다르게 1990년대를 전후로 필름 아카이브의 부재 속에서 비규범적 스크린 및 상영 실천과의 대면 하에 비디오필리아를 실천했던 한국 시네필의 이행기적 특성과 ‘압축적’ 역사에 주목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다양한 배경의 시네필이 주체화되고 점점 더 다양한 플랫폼에 참여하고 있는 21세기에 중심화된 담론을 넘어 분화된 한국 시네필의 경향을 플랫폼, 참여, 노마드라는 키워드를 통해 고찰함으로써, 뉴 미디어 시대에 ‘새로운 시네필리아’의 지형을 모색하고 대안적인 영화문화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영문 초록

This explores the history and specificity of cinephila in Korea for the last 30 years, encompassing the 1990s when cinephile discourse was vitalized, and the contemporary era in which the concept of cinephila was transformed by the influence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new media platforms. Cinephiles, who were supposed to be idealized audiences in the process of the institutionalization of art cinema, was born in France in the 1920s and later recognized as the subject of alternative cultural practice in the 1950s and 1960s. In Korean film culture, cinephiles were interpellated in the 1990s as the ideal subject distinct from self-sufficient film buffs or movie manias who were regarded as exclusive and dilettante cultural consumers. In the 21st century, when the subjects and practices of loving cinema have diversified and cinephile discourse has weakened, the new generation of cinephiles negate the cinephile culture and legacy of the older generation and seek a new film culture. At a time when film culture is rapidly changing, the public discussion of cinephilia raises the demand for interrogating history from the following perspectives. First, it pays attention to th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and ‘compressed’ history of Korean cinephiles who practiced videophilia amid the absence of film archives through non-normative screens and exhibitions around the 1990s, unlike classical cinephiles in the West. Second, in the 21st century when cinephiles from various backgrounds are becoming subjectivized and increasingy participate in various platforms is increasing,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trends of differentiated Korean cinephiles beyond the normative discourse, characterizing them as platforms, participation, and nomad. This leads to map out the topology of ‘new cinephilia’ and illuminates the possibility of an alternative film culture.

목차

1. 서론
2. 한국 시네필 담론의 짧은 역사
3. 비디오필리아에서 시네필리아로
4. 뉴 시네필리아: 플랫폼, 참여, 노마드
5. 결론: 뉴 미디어 시대 시네필의 분화와 ‘불안의 역량’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선주. (2022).비디오필리아, 시네필리아, 뉴 시네필리아. 구보학보, (), 449-491

MLA

이선주. "비디오필리아, 시네필리아, 뉴 시네필리아." 구보학보, (2022): 449-4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