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손창섭의 『유맹』에 나타난 재일조선인의 삶과 작가의 내면풍경

이용수 24

영문명
The Life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nd the Inner Landscape of the Author in Son Chang-seop’s Yummeng
발행기관
구보학회
저자명
이경재
간행물 정보
『구보학보』32집, 359~398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손창섭의 『유맹』에 등장하는 재일조선인의 불우한 삶과 정체성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논의가 기존 논의와 차별성을 갖는 것은 베리(Berry)의 문화변용(acculturation) 모델을 참고하였다는 점과 재일조선인들을 재현의 대상이 아닌 발화의 주체로서 바라보았다는 점, 마지막으로 초점화자 ‘나’를 통해 손창섭의 내면풍경을 살펴보았다는 점이다. 불평등한 다민족 국가였던 일본은 패전 후 새로운 국가를 만들 때, 단일민족 국가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바탕으로 과거에는 같은 국민이었던 다른 민족을 배제하였다. 이로 인해 재일조선인은 일본 사회에서 오랫동안 비가시적인(invisible) 소수자로 존재하기를 강요받았다. 재일조선인 1세에 해당하는 최원복 노인과 다카무라 고이치(고광일) 노인은 문화변용 모델에 있어, 각각 분리(Segregation)와 동화(Assimilation)의 모습을 보여준다. 최원복과 다카무라 고이치(고광일)의 대비는 음식을 통해서 실감나게 드러난다. 본래 음식에 대한 취향이 정체성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문화적 정체성을 구성한다는 사실에 비춰본다면, 최원복과 다카무라 고이치(고광일)가 만드는 음식의 차이는 이들이 일본에서 겪는 문화변용 모델의 차이(분리와 동화)를 직접적으로 보여준다. 재일조선인 1세대와 달리 재일조선인 2세대는 주변화(Marginalization)의 모습을 보여준다. 재일조선인 2세들은 일단 모국문화로부터 분리된 세대라고 할 수 있다. 본래 젊은 층의 이민자는 고령층의 이민자보다 출신국의 문화 정체성이 약할 뿐만 아니라, 재일조선인은 정주지가 식민지 종주국이라는 점과 본국이 남북으로 분단되어 있다는 점 때문에 모국문화와 더욱 거리가 멀어지기 쉬운 환경이다. 또한 이들은 해방 이후부터 1980년대 이전까지 재일조선인들을 기민과 감시의 대상으로만 여겨온 한국 정부의 정책으로 인해 모국문화로부터 더욱 소외될 수밖에 없었다. 다음으로 일본 사회가 재일조선인을 인종적 우월감에 바탕하여 배제한 결과 제일조선인은 일본 문화와도 정상적인 관계 맺기에 실패한다. 이처럼 모국문화와 주류문화 양쪽으로부터 소외된 재일조선인 2세는 극단적인 주변화의 모습을 보여준다. 『유맹』의 초점화자인 ‘나’ 역시 주변화된 존재이지만, 이 때의 주변화는 구체적인 삶의 현장을 배경으로 나타난다기보다는 내면에서 나타난다는 점에서 다른 재일조선인들의 주변화와는 구분된다. ‘나’는 의식과 무의식이, 조건적인 것과 무조건적인 것이 분열된 존재라고 할 수 있다. 충동과 본능의 차원에서는 ‘일본적인 것’을 거부하고, ‘한민족적인 것’을 지향한다. 그러나 의식의 차원에서는 일본과의 비교를 해가면서까지 남한에 대해 비판적인 생각을 한다. 이러한 분열로 인해 ‘나’에게 주어진 길은 ‘한국인이 되거나 일본인이 되는 것’이 아니라 ‘한국인도 되지 않고, 일본인도 되지 않는 것’이다. 그러한 사정은 작품의 마지막 장면에서 귀국하는 최원복을 도쿄역에서 환송한 후에, 착잡한 심정으로 혼자 도쿄 시내를 헤매는 ‘나’의 모습에 압축되어 있다. 지금까지 한국사회와 재일조선인 사이의 관계는 주체와 대상이라는 일방적인 관계였다. 그러나 이처럼 분열된 재일조선인 초점화자 ‘나’를 통한 재일조선인의 재현은 지금까지의 일반적인 재현과는 다른 맥락을 지닌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focused on the poor life and identi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ppearing in Son Chang-seop’s Yummeng. The difference between this discussion and the existing discussion is that it referred to Berry’s cultural transformation model, viewed Koreans in Japan as subjects of speech, not as objects of reproduction, and finally looked at Son Chang-seop’s inner landscape through the focus speaker “I.” Japan, which was an unequal multi-ethnic country, excluded other peoples who were the same people in the past based on its new identity as a single nation state when it created a new country after the defeat. As a result, Koreans in Japan were forced to exist as invisible minorities for a long time in Japanese society. Senior citizens Choi Won-bok and Koichi Takamura (Ko Kwang-il), who are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s in Japan, show separation and assimilation in the cultural transformation model. The contrast between Choi Won-bok and Koichi Takamura (Ko Kwang-il) is realistically revealed through food. In light of the fact that the original taste for food not only reflects identity but also constitutes cultural identity, the difference between Choi Won-bok and Koichi Takamura (Ko Kwang-il) in food directly shows the difference of the cultural transformation model they experience in Japan. Unlike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the second gener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shows the appearance of marginalization. The second generation of Koreans living in Japan can be said to be a generation separated from their native culture. Originally, young immigrants have a weaker cultural identity of their country of origin than older immigrants, and Koreans in Japan are more likely to be far from their native culture due to the fact that their settlement is a colonial host country and their home country is divided into the north and south. In addition, they were forced to be further alienated from their native culture due to the Korean government’s policy of considering Koreans living in Japan only as a subject of alertness and surveillance from the time of liberation to the 1980s. Next, as a result of Japanese society excluding Koreans living in Japan based on their racial superiority, Korean Residents in Japan fail to establish a normal relationship with Japanese culture. As such, the second gener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who are alienated from both their native and mainstream cultures, shows extreme marginalization. “I,” the focalizer of Yummeng, is also a marginalized existence, but it is distinguished from other Korean residents in Japan in that the marginalization at this time appears from the inside rather than the background of a specific scene of life. “I” can be said to be a divided existence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conditional and unconditional. In terms of impulse and instinct, they reject ‘Japanese things’ and aim for ‘Korean things’. However, in terms of consciousness, they think critically of South Korea even while comparing it with Japan. Due to this division, the path given to ‘I’ is not to become a Korean or a Japanese, but to not become a Korean or a Japanese. Such circumstances are compressed by the appearance of “I,” who wanders around downtown Tokyo alone with mixed feelings after returning Choi Won-bok, who returns home from Tokyo Station in the last scene of the work. Until now,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society and Koreans living in Japan has been a one-sided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object.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reproduction of Koreans in Japan through the focus speaker “I,” which is a divided Korean resident in Japan, has a different context from the general reproduction so far.

목차

1. 서론
2. 전도된 거울상−최원복과 다카무라 고이치
3. 주변화되는 사람들−재일조선인 2세들
4. ‘나’의 내면적 주변화와 작가의 내면풍경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경재. (2022).손창섭의 『유맹』에 나타난 재일조선인의 삶과 작가의 내면풍경. 구보학보, (), 359-398

MLA

이경재. "손창섭의 『유맹』에 나타난 재일조선인의 삶과 작가의 내면풍경." 구보학보, (2022): 359-3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