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간말 자음의 실현 양상
이용수 8
- 영문명
- Aspects of realization of Stem-final consonant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권경근 고아진 김명문 김중수 이승왕 정하윤 김봉국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25호, 445~47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글의 목적은 부산 지역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어간말 자음의 실현 양상을 논의하는 것이다. 방법: 초·중·고등학생 각각 2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조사항목은 ‘밭, 팥, 꽃, 빛, 흙, 닭, 값, 굵-, 맑-, 넓-’을 선정하였다. 이 항목에 조사 또는 어미의 결합형을 조사하였다. 결과: 체언의 경우, ‘Xㅌ’에서 ‘밭’은 복잡한 양상을 보이지만 ‘팥’은 ‘Xㅅ’형인 ‘팟’의 실현율이 높게 나타난다. ‘Xㅊ’에서 ‘빛, 꽃’은 모두 ‘Xㅊ’형의 실현율이, ‘Xㄺ’에서 ‘닭, 흙’은 모두 ‘Xㄱ’형의 실현율이, ‘Xㅄ’에서 ‘값’은 ‘Xㅄ’형의 실현율이 각각 높게 나타난다. 하지만 ‘Xㅄ’형에서 호격 ‘아’와 결합하게 되면 ‘Xㅂ’형과 ‘Xㅄ’형의 실현율에는 큰 차이가 없다. 용언의 경우, ‘Xㄺ’에서 ‘굵-, 맑-’은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의 결합에서 ‘Xㄹ’형의 실현율이 높게 나타나며, ‘Xㄼ’에서 ‘넓-’은 ‘Xㄹ’형의 실현율이 높게 나타난다. 결론: 어간말 자음의 실현 양상에 있어서 초·중·고등학생별로 약간의 차이가 보이기도 하며, 어간말 자음의 종류나 조사/어미에 따라 다양한 실현 양상을 보여 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aspects of realization of stem-final consonants for students in Busan. Methods: The study targets 60 students. The survey items were ‘bath(밭), path(팥), kkoch(꽃), bich(빛), heulk(흙), dalk(닭), gaps(값)’ and ‘gulk-(굵-), malk-(맑-), neolp(넓-)’. The survey items were again examined by combining postpositions or endings.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bath(밭)’ shows a complex aspect depending on postpositions, but ‘path(팥)’ has a high realization rate of ‘phas(팟)’. ‘bich(빛) & kkoch(꽃)’ ‘Xch’ type, ‘dalk(닭)’ and ‘heulk(흙)’ ‘Xk’ type, and ‘gaps(값)’ ‘Xps’ type. ‘gulk-(굵), malk-(맑)’ showed a high realization rate of ‘Xl’ type. and ‘neolp-(넓-)’ ‘Xl’. Conclusion: In aspects of realization of stem-final consonants, they are shown depending on the type of stem-final consonants or case- marking particle/final ending.
목차
1. 서론
2. 기본적인 배경
3. 어간말 자음의 실현 양상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빙산 메타포 모형에 기반한 관계 중심 대화 양상 분석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수업 개발 연구
- 초·중·고 국어과 사과 교육 내용의 개선 방향
- 어간말 자음의 실현 양상
-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중급 한국어 교육 방안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미디어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연구
-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 제시된 기능의 교과서 반영 양상 연구
-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복합 조사의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댓글 담화 분석을 통한 인터넷 게시판 글쓰기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연구
- 담화표지 ‘아니’의 한국어 교육용 의미 기능 선정 연구
- 퍼스의 기호작용에 기반한 필자의 메타언어적 인지 작용 고찰
- 유학생 대상 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인식 조사 연구
- IB 디플로마 지식론(Theory of Knowledge)의 소개와 국어 교과의 지식 질문 검토
- 데이터 기반 학습(Data-Driven Learning)을 통한 학문 목적 쓰기 교육 연구
- 인공지능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오래된 과제와 새로운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