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학생 대상 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인식 조사 연구
이용수 28
- 영문명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Expert Group on the Liberal Arts Curriculum for Internationa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류승의 조위수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25호, 329~35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한국어 숙달도 교육은 체계가 정립되어 있으나, 유학생 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학생 및 교양교육 전문가의 인식을 조사하여 유학생 교양 교육과정의 구성과 운영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해 교양 교육과정 관련 문헌을 검토하여 면담과 설문 문항을 구성하고, 전문가 면담과 설문조사 형식으로 질적·양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결과: 그 결과 유학생 교양 교육과정의 중요성과 개선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조사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활 한국어교육, 전공 연계 교육, 내용 기반 교양 교육, 체험 중심 교육, 실무 중심 교육’의 교양 교육과정 체계를 정립할 수 있었다. 결론: 교양 교육과정은 유학생의 대학생활과 전공 학습에 도움을 주고, 이들이 교양지식과 실무 능력을 함양하는 데 중요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각 대학에서는 상황에 맞게 유학생 교양 교육과정의 운영 주체를 정하고, 유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과정 로드맵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Although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education system has been established, there is not much discussion about the liberal arts education process for international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discuss the design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by examining the perceptions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liberal arts education experts.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liberal arts curriculum was reviewed to form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an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form of expert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Results: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for international students and the need for the improvement of it turned ou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a liberal arts curriculum system of university life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linked education; content-based liberal arts education; experience-oriented education, and practice-oriented education Conclusion: The liberal arts curriculum is crucial for international students for enhancing knowledge and practical skills. Therefore, each university should determine the liberal arts curriculum customized for international students and prepare a roadmap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m.
목차
1. 서론
2. 교양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
3. 연구 방법
4. 유학생 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가 인식 분석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유학생 교양 교육과정
전문가 인식 조사
대학생활 한국어교육
전공 연계 교육
내용 기반 교양 교육
체험 중심 교육
실무 중심 교육
international student liberal arts curriculum
expert perception survey
university life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linked education
content-based liberal arts education
experience-oriented education
practice-oriented education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빙산 메타포 모형에 기반한 관계 중심 대화 양상 분석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수업 개발 연구
- 초·중·고 국어과 사과 교육 내용의 개선 방향
- 어간말 자음의 실현 양상
-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중급 한국어 교육 방안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미디어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연구
-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 제시된 기능의 교과서 반영 양상 연구
-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복합 조사의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댓글 담화 분석을 통한 인터넷 게시판 글쓰기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연구
- 담화표지 ‘아니’의 한국어 교육용 의미 기능 선정 연구
- 퍼스의 기호작용에 기반한 필자의 메타언어적 인지 작용 고찰
- 유학생 대상 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인식 조사 연구
- IB 디플로마 지식론(Theory of Knowledge)의 소개와 국어 교과의 지식 질문 검토
- 데이터 기반 학습(Data-Driven Learning)을 통한 학문 목적 쓰기 교육 연구
- 인공지능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오래된 과제와 새로운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