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공지능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오래된 과제와 새로운 과제
이용수 119
- 영문명
- The Old and the New Tasks of Media Literacy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정현선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25호, 7~3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인공지능이 미디어에 도입된 새로운 환경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오래된 과제와 새로운 과제를 논의하는 데 있다. 방법: 인공지능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가 직면한 새로운 과제가 무엇인가를 연구 문제로 삼아 관련 연구와 미디어 현상을 검토하는 방법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결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과정에서 미디어 자료의 선별과 활용이 필수적이며, 이 과정은 미디어 자료들이 사회적 현실을 구성하는 방식인 재현과 그것이 만들어내는 미디어 담론에 대한 비판적 판단을 중시하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접근을 포함해야 함을 논의하였다. 또한 이러한 미디어 리터러시의 오래된 과제는 ‘삶 속의 텍스트’를 다룸으로써 사회적 차원의 리터러시 발달을 강조하는 비판적 리터러시 이론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음을 제시하였다. 결론: 디지털 미디어 환경의 미디어 리터러시는 단일 텍스트에 대한 면밀한 읽기 중심이 아니라 실제 삶 속에 존재하는 다출처 콘텐츠에 대한 수평적 읽기, 그리고 정보 및 콘텐츠의 추천과 검색이 이루어지는 맥락으로서의 디지털 플랫폼에 개입된 인공지능의 오류와 편향을 비판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과제에 직면했음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old and new challenges of media literacy in a new environment where artificial intelligence is introduced into the media. Methods : To this end, the discussion was conducted by examining related research and media phenomena and raising issues in terms of new challenges faced by media literacy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Results : This paper suggests that media representation should be the old but critical concept of media literacy in the new environment in the processes of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onsidering the role of media in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ies and discourses. This paper also discusses that such the traditional task of media literacy is closely related to critical literacy theory that aims to develop social literacy by dealing with ‘real texts.’ Conclusion : This paper emphasize that the new challenges of media literacy in the digital media might be to help users of media to move beyond close-reading of single texts towards ‘horizontal’ reading of multi-source contents and to critically engage in the digital platforms in which algorithms of information search and recommendation are bound to have errors and bias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목차
1. 들어가는 말: 인공지능, 언어 교육, 미디어 리터러시의 연결고리 찾기
2. 인공지능 시대 국어사전 찾기의 실제성: 정보 검색, 미디어 재현, 비판적 리터러시
3. 인공지능 시대 미디어 리터러시의 새로운 과제: 다출처 콘텐츠와 디지털 플랫폼에 대한 비판적 이해
4. 맺는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빙산 메타포 모형에 기반한 관계 중심 대화 양상 분석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수업 개발 연구
- 초·중·고 국어과 사과 교육 내용의 개선 방향
- 어간말 자음의 실현 양상
-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중급 한국어 교육 방안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미디어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연구
-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 제시된 기능의 교과서 반영 양상 연구
-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복합 조사의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댓글 담화 분석을 통한 인터넷 게시판 글쓰기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연구
- 담화표지 ‘아니’의 한국어 교육용 의미 기능 선정 연구
- 퍼스의 기호작용에 기반한 필자의 메타언어적 인지 작용 고찰
- 유학생 대상 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인식 조사 연구
- IB 디플로마 지식론(Theory of Knowledge)의 소개와 국어 교과의 지식 질문 검토
- 데이터 기반 학습(Data-Driven Learning)을 통한 학문 목적 쓰기 교육 연구
- 인공지능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오래된 과제와 새로운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