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 제시된 기능의 교과서 반영 양상 연구
이용수 28
- 영문명
- A Study on Reflection of Writing Skills Suggested by the Curriculum in Textbooks: Centered on Writing in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최종윤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25호, 69~9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쓰기 영역 내용 체계에 제시된 기능의 교과서 반영 양상을 살펴보고, 기능 제시 방식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방법: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 체계 기능의 성격과 범주를 고찰하였고, 국어과 교육과정과 초등 교과서를 대상으로 기능의 반영 양상을 분석하였다. 결과: 쓰기 영역 내용 체계 기능의 제시 방식 개선 방안을 교육과정 측면과 교과서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교육과정 측면에서는 첫째, 하위 기능 요소를 추가 및 조정하기, 둘째, 용어 제시 문제를 개선하기, 셋째, 기능의 제시 기준을 명확히 하기 등을 개선 방안으로 제시하였고, 교과서 측면은 첫째, 기능의 반복 연습을 강화하기, 둘째, 학생이 쓰기 기능의 학습 가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셋째, 독자 분석하기와 독자 교류하기 관련 활동을 강화하기 등을 개선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결론: 학생의 발달 특성과 교과 특성을 반영해 쓰기 기능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flected aspects of writing skills suggested by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extbooks and provide measures to improve the way writing skills are presented. Method: Firstly, it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and categories of writing skills in the curriculum and then analyzed reflections of writing skills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extbooks. Result: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methods to present writing skills were done in terms of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In terms of the curriculum, the first measure is to add and adjust sub-skills, the second is to improve presentation of terms and the third is Clarify the criteria for presentation of the writing skills. In terms of textbooks, the first is to enhance the connection between learning elements, the second is to allow students to identify values of learning writing skills and the third is Reinforcing the repetitive practice of writing skills Conclusion: Writing skills need to be presented reflecting the student’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subject characteristics.
목차
1. 서론
2. 쓰기 영역 내용 체계 기능의 성격과 범주
3. 쓰기 영역 내용 체계 기능의 교과서 반영 양상
4.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 체계 기능의 제시 과제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빙산 메타포 모형에 기반한 관계 중심 대화 양상 분석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수업 개발 연구
- 초·중·고 국어과 사과 교육 내용의 개선 방향
- 어간말 자음의 실현 양상
-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중급 한국어 교육 방안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미디어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연구
-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 제시된 기능의 교과서 반영 양상 연구
-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복합 조사의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댓글 담화 분석을 통한 인터넷 게시판 글쓰기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연구
- 담화표지 ‘아니’의 한국어 교육용 의미 기능 선정 연구
- 퍼스의 기호작용에 기반한 필자의 메타언어적 인지 작용 고찰
- 유학생 대상 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인식 조사 연구
- IB 디플로마 지식론(Theory of Knowledge)의 소개와 국어 교과의 지식 질문 검토
- 데이터 기반 학습(Data-Driven Learning)을 통한 학문 목적 쓰기 교육 연구
- 인공지능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오래된 과제와 새로운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