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미디어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연구

이용수 29

영문명
A Study on Standard of Media Education in 2015 Revised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장은주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125호, 39~6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디지털 환경의 미디어교육 내용을 학교 교육에 체계적으로 반영하기 위하여, 교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방법: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미디어교육 관련 성취기준을 추출하고, 학년군 및 교과별 성취기준을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요소와 대응하여 살펴보았다. 결과: 그 결과 국어, 사회/도덕, 기술·가정/정보, 예술 교과에 미디어교육 내용이 반영되어 있으며, 각 교과 특성과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 요소의 연관성도 드러났다. 그러나 일부 내용은 중복되거나 배제되어 있어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요소에 따른 교육 내용의 체계화와 위계화가 필요하다. 결론: 교육과정 총론에 디지털 미디어 관련 역량을 반영하고, 각론에서 미디어에 대한 지식, 디지털 환경에서의 성찰적 책임을 바탕으로 한 참여 등 디지털 환경의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내용이 보강되어야 한다. 성취기준 외에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차원의 반영도 필요하다. 특히 국어과는 저학년에서부터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내용을 반영하고, 국어과 선택과목은 미디어 유형을 포함한 미디어에 대한 지식을 전문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curriculum in order to systematically reflect the contents of media education in the digital environment in school education. Methods: To this end, the standards related to media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extracted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each grade group and subject were examined in response to the elements of media literacy. Results: As a result, the contents of media education are reflected in Korean, social/morality, technology, home/information, and art subject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subject’s characteristics and media literacy components was also revealed. However, some educational contents are duplicated or excluded, so it is necessary to systemize and hierarchy the educational contents according to the media literacy components. Conclusion: The contents related to media literacy in digital environment should be reinforced, such as reflecting digital media-related capabilities in the general discussion, knowledge of media in the general discussion, and participation based on reflective responsibility in the digital environment. In addition to achievement standard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dimensions are also needed. Especially,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should reflect the contents related to media literacy from the lower grades, and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selection course should deal with the knowledge of media including media type professionally.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소통 환경의 변화와 미디어교육 교육과정
3.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미디어교육 내용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은주. (2020).2015 개정 교육과정의 미디어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연구. 새국어교육, (), 39-68

MLA

장은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미디어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연구." 새국어교육, (2020): 39-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