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담화표지 ‘아니’의 한국어 교육용 의미 기능 선정 연구
이용수 113
- 영문명
- A Study on the Selection in Educational Functions of Discourse Marker ‘Ani’: Focused on daily conversatio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오은화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25호, 237~26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말뭉치 분석을 통해 담화표지 ‘아니’의 기능을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용 의미 기능을 선정하고자 한다. 방법: 세종 구어 말뭉치 중 일상 대화 데이터를 선정하여, Antconc 프로그램을 통해 담화표지 ‘아니’를 추출하였고, 이를 기능별로 분석하였다. 또한, 교재 분석을 통해 담화표지 ‘아니’의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용 의미 기능을 선정하였다. 결과: 담화표지 ‘아니’의 ‘반박’기능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부연설명’, ‘화제 전환’ 등이 뒤를 이었다. 담화표지 ‘아니’와 함께 사용된 연어로는 ‘근데’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연어 표현별 자주 사용된 기능을 살펴본 결과, ‘근데’는 ‘화제 전환’, ‘그니까’는 ‘부연설명’ 기능에서 두드러진 특징을 보였다. 이에 따라 해당 연어 표현을 함께 교수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교재분석에서는 12권의 교재 중 3권에서만 1회씩 담화표지 ‘아니’가 등장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TOPIK의 등급 평가 기준을 활용하여 교육용 의미 기능을 제시하였는데, 3·4급은 빈도수가 높은 기능을, 5·6급은 5%이하로 나타난 기능을 학습하도록 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Classify the educational functional of the discourse marker ‘Ani’ based on the corpus analysis. Methods: The daily conversation data of Sejong corpus was selected, extracted using the Antconc program and analyzed based on function. In addition, The teaching status of the discourse maker ‘Ani’ was reviewed through the analysis of textbooks and the meaning function for education was select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Results: The discourse marker ‘Ani’ was used mostly for ‘refutation’ purposes, followed by ‘further explanation’, ‘changing topics.’ The phrase ‘Geunde’ was the most often used together with the discourse marker ‘Ani.’ Analysis of the portmanteau showed that ‘Geunde’, was used for ‘changing topics’ while the portmanteau ‘Geunikka’ was used for ‘further explanation.’ Therefore, these words were taught to be used together. Out of the 12 textbooks analyzed, only 3 of them contained the discourse marker ‘Ani’ a single tim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efinition function was presented using TOPIK’s grading criteria and levels 3, 4 were required to learn functions with high frequency while levels 5, 6, 5% lower.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선행연구
3. 연구 방법
4. 담화표지 ‘아니’의 분석 및 교육용 의미 선정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빙산 메타포 모형에 기반한 관계 중심 대화 양상 분석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수업 개발 연구
- 초·중·고 국어과 사과 교육 내용의 개선 방향
- 어간말 자음의 실현 양상
-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중급 한국어 교육 방안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미디어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연구
-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 제시된 기능의 교과서 반영 양상 연구
-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복합 조사의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댓글 담화 분석을 통한 인터넷 게시판 글쓰기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연구
- 담화표지 ‘아니’의 한국어 교육용 의미 기능 선정 연구
- 퍼스의 기호작용에 기반한 필자의 메타언어적 인지 작용 고찰
- 유학생 대상 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인식 조사 연구
- IB 디플로마 지식론(Theory of Knowledge)의 소개와 국어 교과의 지식 질문 검토
- 데이터 기반 학습(Data-Driven Learning)을 통한 학문 목적 쓰기 교육 연구
- 인공지능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오래된 과제와 새로운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