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중급 한국어 교육 방안
이용수 108
- 영문명
- A Study on a Intermediate-level Korean Language Program Using Immersive Content: Focusing on the Korean Textbooks of D University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천시우시우 최은경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25호, 291~328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고의 목적은 한국어 교육에서 실감형 기술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하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방법: D대학교 한국어 교육과정의 중급 교재를 바탕으로 각 단원의 주제 및 수업 활동과 관련하여 활용 가능한 실감형 콘텐츠를 선정한 후 on-off 통합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교실 수업의 변화와 향상에 중점을 두는 실행연구 방법을 택하였다. 결과: D대학 중급 교재에서 실감형 콘텐츠의 활용이 가능한 영역은 듣고 말하기, 읽고 쓰기, 문화 등이고, 사용할 수 있는 활용 유형은 다양하며 활용 비율은 25% 정도로 기대된다. 그 중 4급 ‘6과 사건과 사고’를 선정하여 가상현실을 활용한 교육 방안을 설계하였다. 결론: 중급 한국어 수업에서의 실감형 콘텐츠 적용이 가능함이 확인되었다.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다면 학생이 학습 내용에 더 몰입하게 되어 학습 효과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ways to effectively improve learners' communication skills by utilizing immersive technologies such as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Method: Based on the intermediate textbooks of D University’s Korean language curriculum, we selected immersive content that can be used in relation to the subject and class activities of each unit, and then proposed an on-off integrated education plan. In addition, practical research methods were chosen to focus on the change and improvement of classroom classes. Results : The areas where immersive content can be used in the D university intermediate textbook are listening and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culture, and activities. There are various types of utilization that can be used, and the utilization rate is expected to be around 25%. Among the lessons of the textbooks, the 4th grade ‘Lesson 6 Incidents and Accidents’ was selected and educational plans using virtual reality were designed. Conclusion :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apply immersive content in intermediate Korean classes. If realistic content is used, students will become more immersed in the learning content, which will increase the learning effect.
목차
1. 들어가며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중급 한국어 교육 방안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빙산 메타포 모형에 기반한 관계 중심 대화 양상 분석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수업 개발 연구
- 초·중·고 국어과 사과 교육 내용의 개선 방향
- 어간말 자음의 실현 양상
-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중급 한국어 교육 방안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미디어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연구
-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 제시된 기능의 교과서 반영 양상 연구
-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복합 조사의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댓글 담화 분석을 통한 인터넷 게시판 글쓰기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연구
- 담화표지 ‘아니’의 한국어 교육용 의미 기능 선정 연구
- 퍼스의 기호작용에 기반한 필자의 메타언어적 인지 작용 고찰
- 유학생 대상 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인식 조사 연구
- IB 디플로마 지식론(Theory of Knowledge)의 소개와 국어 교과의 지식 질문 검토
- 데이터 기반 학습(Data-Driven Learning)을 통한 학문 목적 쓰기 교육 연구
- 인공지능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오래된 과제와 새로운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