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중·고 국어과 사과 교육 내용의 개선 방향
이용수 10
- 영문명
- Improving Apology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구영산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25호, 99~134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국어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사과 교육 내용을 사과 이해 및 수용의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를 근거로 국어과 사과 교육의 내용 개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방법: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이에 근거한 초·중·고 국어과 교과서의 내용을 1)사과 이해의 맥락이 교육 내용으로 제시되어 있는지의 여부, 2)사과 이해 및 수용 반응을 교육 내용으로 구체화하고 있는지의 여부 및 그 방식, 3)국어교육의 측면에서 보다 적절한 사과 수용 반응을 교육 내용으로 구체화하고 있는지의 여부 및 그 방식, 4)그 외 사과 교육의 내용 검토에 유의미한 사항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결과: 다양한 목표의 언어 학습 자료로 사과 담화 및 텍스트가 쓰이고 있으나, 사과가 교육과정 성취기준 및 교과서 학습 목표로 구현된 경우는 ‘화법과 작문’이 유일하다. 이 중 사과 이해 및 수용과 관련한 교육 내용은 교과서에 간략히 단 한 차례 등장한다. 결론: 국어교육의 내용으로서 사과 이해 및 수용 교육의 내용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일상 속 누구나 사과 수용자의 위치에 서게 되는 만큼 사과 표현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그것의 진정성 정도를 판단하고 그에 적합한 반응을 보일 수 있는 일은 교육을 통해 도모해야 할 언어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ways to improve apology education based on an analysis of the contents of apology education in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 from the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and accepting apologies. Methods: I posed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concerning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1) Do they raise the issue of how apologies are accepted as well as made? 2) Do they provide strategies for understanding and potentially accepting apologies? 3) Do they give guidance about the best ways to respond to apologies? Data sources were from the 2015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and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Korean language arts textbooks. Results: All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answered in the negative. There is almost no discussion of the issues of how apologies are accepted, or what strategies students might employ in assessing apologies. Conclusion: Education concerning the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apologies needs to be developed. In everyday life people routinely find themselves in the position of receiving apologies. The ability to judge authenticity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expression of apologies, and to respond accordingly, is an important skill to be acquired through education.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초·중·고 국어과 교육과정의 사과 교육 내용
4. 초·중·고 국어과 교과서의 사과 교육 내용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빙산 메타포 모형에 기반한 관계 중심 대화 양상 분석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수업 개발 연구
- 초·중·고 국어과 사과 교육 내용의 개선 방향
- 어간말 자음의 실현 양상
-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중급 한국어 교육 방안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미디어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연구
-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 제시된 기능의 교과서 반영 양상 연구
-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복합 조사의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댓글 담화 분석을 통한 인터넷 게시판 글쓰기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연구
- 담화표지 ‘아니’의 한국어 교육용 의미 기능 선정 연구
- 퍼스의 기호작용에 기반한 필자의 메타언어적 인지 작용 고찰
- 유학생 대상 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인식 조사 연구
- IB 디플로마 지식론(Theory of Knowledge)의 소개와 국어 교과의 지식 질문 검토
- 데이터 기반 학습(Data-Driven Learning)을 통한 학문 목적 쓰기 교육 연구
- 인공지능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오래된 과제와 새로운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