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퍼스의 기호작용에 기반한 필자의 메타언어적 인지 작용 고찰
이용수 24
- 영문명
- A Study on the Writer’s Metalinguistic Cognitive Processes based on Perth’s Semiotic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박혜림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25호, 267~29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메타언어적 인지 작용을 퍼스의 기호작용에 기반하여 필자의 메타언어적 인지 작용을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쓰기에서 메타언어적 인지는 ‘텍스트에 대한 반성과 조작 작용’을 말한다. 방법: 텍스트에 대한 반성과 조작의 구체적인 작용 방식은 기호 작용의 역동성을 강조한 퍼스의 기호학을 이론적 기반으로 하여 규명할 수 있다. 소쉬르와 달리 퍼스는 기호를 지시 작용이자 추론 작용으로 보았다. 또한 추상성과 관습성을 통해 재현되는 두 겹의 일반성을 상정함에 따라 언어 의미에 진화론적 가치를 부여한다. 이에 비추어 본고는 텍스트 반성을 일종의 추론 작용으로, 텍스트 조작을 기표의 전이로 설명한다. 결과: 필자는 반성 작용을 통해 텍스트의 직접적 해석체를 파악하고 역동적 해석체를 추론한다. 그리고 조작 작용을 통해 최종적 해석체를 고려하거나 역동적 대상을 탐구한다. 결론: 메타언어적 인지의 개념을 쓰기 교육의 장으로 수용함으로써 쓰기의 언어적 측면과 심리적 측면에 통합적으로 접근하고, 독자를 고려하고 담화 관습을 준수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작문의 회귀성 개념을 확장하고 필자의 능동성을 부각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metalinguistic cognition of the author based on Perth’s semiotic action. Methods: ‘Metalinguistic cognition’ is ‘reflection and manipulation of text’. Perth’s semiotics, emphasizing the dynamics of sign action, can be defined a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concrete way of action of reflection and manipulation on text. Unlike Saussure, Perth viewed signs as both a directing and reasoning. In addition, it gives evolutionary value to language meaning by assuming two layers of generality that are reproduced through abstraction and convention. In light of this, this paper explains text reflection as a kind of reasoning, and text manipulation as a transfer of signifiers. Results: The author grasps the direct interpretation of the text through reflection and infers the dynamic interpretation. Besides, the final interpretation is considered or a dynamic object is explored through manipulation. Conclusion: By accepting the concept of meta- linguistic cognition as a place for writing education, it is possible to integratively approach the linguistic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writing, consider the reader, and derive a specific method to observe the discourse convention.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퍼스 기호학에 따른 메타언어의 개념
3. 텍스트에 대한 반성과 조작 작용
4. 쓰기 교육 연구에 대한 시사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빙산 메타포 모형에 기반한 관계 중심 대화 양상 분석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수업 개발 연구
- 초·중·고 국어과 사과 교육 내용의 개선 방향
- 어간말 자음의 실현 양상
-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중급 한국어 교육 방안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미디어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연구
-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 제시된 기능의 교과서 반영 양상 연구
-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복합 조사의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댓글 담화 분석을 통한 인터넷 게시판 글쓰기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연구
- 담화표지 ‘아니’의 한국어 교육용 의미 기능 선정 연구
- 퍼스의 기호작용에 기반한 필자의 메타언어적 인지 작용 고찰
- 유학생 대상 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인식 조사 연구
- IB 디플로마 지식론(Theory of Knowledge)의 소개와 국어 교과의 지식 질문 검토
- 데이터 기반 학습(Data-Driven Learning)을 통한 학문 목적 쓰기 교육 연구
- 인공지능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오래된 과제와 새로운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