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IB 디플로마 지식론(Theory of Knowledge)의 소개와 국어 교과의 지식 질문 검토
이용수 62
- 영문명
- Introduction of IB Diploma Theory of Knowledge and Examination of Knowledge Question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Course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진실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25호, 163~194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IB 교육과정의 고유 교과인 ‘지식론(theory of knowledge)’의 이해를 통해 IB 지식론과 국어 교과에서 다루는 지식의 연관성을 고찰한다. 방법: IB 지식론 과목 가이드와 지식론 평가 관련 자료, 그리고 국어 교과의 지식 질문(knowledge questions)을 검토한다. 결과: 지식론에서는 지식을 하나의 주장으로 표현하며 개방적이고 일반적인 지식 질문을 통해 지식의 속성과 지식이 구축되는 과정, 지식의 의의 등에 대한 폭넓은 성찰을 꾀한다. 지식론은 지식 구축의 방법을 반성함으로써 패러다임을 바꾸는 창의적 사고를 훈련시키고, 교과 통합적인 평가 문항을 통해 지식의 통합적 사고를 가능하게 하며, 교실 속 지식을 현실로 연결시켜 지식의 궁극적 목적을 스스로 탐색하게 한다. 평가의 측면에서는 분석적 평가가 아닌, 지식론의 본질에 부합한 총체적 인상 평가를 활용한다. 결론: 국어 교과는 지식 자체를 전달하는 여느 교과와 달리 의사소통과 지식을 탐구하는 경로로서의 언어를 다룬다는 측면에서 지식론과 연결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consider the connection between IB ‘Theory of knowledge’ and knowledge covered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rough the understand Review IB Knowledge Theory subject guides, knowledge assessment materials, and knowledge questions in the Korean language course.ing of ToK, which is a unique subject of the IB Diploma programme. Methods: Review IB ToK subject guides, its assessment system and materials, and knowledge questions in the Korean language course. Results: Tok expresses knowledge as a single argument, and seeks a broad reflection on the process of building knowledge properties and the significance of knowledge through open and general knowledge questions. By reflecting on how to build knowledge, it trains students’ creative thinking that changes the paradigm, enables integrated thinking of knowledge through integrated assessment questions, and links knowledge in the classroom to the reality to explore the ultimate purpose of knowledge on its own. In terms of evaluation, Tok utilizes the overall impression assessment that is consistent with the nature of Tok, not the analytical assessment. Conclusion: Korean language subject, unlike any other subject that conveys knowledge itself, is linked to the Theory of knowledge in terms of dealing with language as a channel for communication and exploration of knowledge.
목차
1. 서론
2. IB 교육 과정과 필수 교과의 구성
3. 지식론의 구체적인 내용과 특징
4. 국어 교과와 지식 질문(knowledge questions)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빙산 메타포 모형에 기반한 관계 중심 대화 양상 분석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수업 개발 연구
- 초·중·고 국어과 사과 교육 내용의 개선 방향
- 어간말 자음의 실현 양상
-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중급 한국어 교육 방안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미디어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연구
-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 제시된 기능의 교과서 반영 양상 연구
-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복합 조사의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댓글 담화 분석을 통한 인터넷 게시판 글쓰기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연구
- 담화표지 ‘아니’의 한국어 교육용 의미 기능 선정 연구
- 퍼스의 기호작용에 기반한 필자의 메타언어적 인지 작용 고찰
- 유학생 대상 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인식 조사 연구
- IB 디플로마 지식론(Theory of Knowledge)의 소개와 국어 교과의 지식 질문 검토
- 데이터 기반 학습(Data-Driven Learning)을 통한 학문 목적 쓰기 교육 연구
- 인공지능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오래된 과제와 새로운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