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학습자의 댓글 담화 분석을 통한 인터넷 게시판 글쓰기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연구
이용수 30
- 영문명
-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Use of Internet Bulletin Board Writing through Analysi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Reply Discourse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정미진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25호, 357~37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실행연구의 하나로 인터넷 게시판 글쓰기가 연구자의 글쓰기 교수 행위를 개선하는 방안이 될 수 있는지를 탐색해 보는 데에 있다. 연구자가 개선하고자 하는 것은 인쇄매체 중심의 쓰기 교육, ‘소통의 행위’를 간과하는 쓰기 교육의 두 가지이다. 방법: 학습자가 작성한 인터넷 댓글의 의사소통 양상과 댓글 쓰기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결과: 댓글 분석의 결과 학습자들이 서로가 쓴 글의 내용에 공감을 표현하고 서로를 칭찬 및 격려하는 양상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또한 자신의 의견과 정보, 대안을 제시하는 양상도 나타났다. 댓글 쓰기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조사에서도 다른 이의 생각을 알 수 있었다는 응답이 많았다. 그러나 온라인 설문 조사로는 글쓰기에 대한 인식이 변화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에는 어려웠다. 결론: 제한적이기는 하나 인터넷 게시판 글쓰기를 통해 인터넷 매체를 활용하여 서로가 가진 정보, 경험, 생각을 나눌 수 있는 교육적 경험과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As one of the Action Research, this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Internet BB writing can be a way to improve the researcher’s writing teaching behavior. There are two things the researcher wants to improve: writing education focused on print media, and writing education that overlooks the “action of communication”.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communication patterns of Internet replies written by learners and learners' perceptions of reply writing. Results: It was possible to see how learners responded to the content of each other’s writings, expressed empathy, and praised and encouraged each other through reply writing. In addition, there were aspects of presenting their opinions, information, and alternatives. In the survey of learners' perceptions, many respondents said that they were able to understand other people’s thoughts. Conclusion: Although limited, it was confirmed that through writing on an Internet BB, it was possible to provide educational experiences and opportunities to share information, experiences, and thoughts of each other.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인터넷 매체의 교육적 활용
3. 유학생이 작성한 댓글 담화의 의사소통 양상
4. 댓글 쓰기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5.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빙산 메타포 모형에 기반한 관계 중심 대화 양상 분석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수업 개발 연구
- 초·중·고 국어과 사과 교육 내용의 개선 방향
- 어간말 자음의 실현 양상
-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중급 한국어 교육 방안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미디어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연구
-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 제시된 기능의 교과서 반영 양상 연구
-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복합 조사의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댓글 담화 분석을 통한 인터넷 게시판 글쓰기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연구
- 담화표지 ‘아니’의 한국어 교육용 의미 기능 선정 연구
- 퍼스의 기호작용에 기반한 필자의 메타언어적 인지 작용 고찰
- 유학생 대상 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인식 조사 연구
- IB 디플로마 지식론(Theory of Knowledge)의 소개와 국어 교과의 지식 질문 검토
- 데이터 기반 학습(Data-Driven Learning)을 통한 학문 목적 쓰기 교육 연구
- 인공지능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오래된 과제와 새로운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