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데이터 기반 학습(Data-Driven Learning)을 통한 학문 목적 쓰기 교육 연구
이용수 18
- 영문명
- Academic Purpose Writing Education Research Through Data-Driven Learning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신범숙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25호, 135~16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의 데이터 기반 학습 적용 방안을 살피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데이터 기반 학습 관련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문헌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때 주요 분석의 대상이 된 것은 제2 언어 교육 연구, 그리고 학술 및 학위 논문 장르와 관련된 학문 목적 쓰기 연구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기반 학습의 개념을 밝히고, 이를 활용하기 위해 구성해야 할 말뭉치의 유형과 특성을 살폈다. 또한 학문 목적 쓰기에서의 말뭉치 분석 틀로서 이동마디(Swales, 1991)의 가능성에 주목하고, 서론과 본론, 결론의 분석에 활용 가능한 기본 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적용할 수 있는 데이터 기반 학습의 모형을 구안하고, 국내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실행 가능한 교육 과정 운영안을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실제적인 언어 자료를 통해 학문 목적 쓰기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기반 학습 설계 및 운영의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specific ways to apply data-driven learning in Korean writing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Methods: A literature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data-driven learning. The analysis subject was research on second language education and writing for academic purposes related to the thesis genre. Results: “Data-driven learning” was clarified, an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rpus to be composed to utilize it were examined. Additionally, we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Move (Swales, 1991) as an analysis framework that can be used for corpus analysis in writing for academic purposes and reviewe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used to analyze introductions, bodies, and conclusions. Next, we examined data-driven learning’s general procedures and methods and, based on this, an appropriate model for application in Korean writing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Finally, a curriculum operation plan that can be applied to the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affiliated with domestic universities is presented.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reference materials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data-based learning that enables learners to develop language skills related to their major through actual language data in Korean writing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논의의 전제
3. 데이터 기반 쓰기 교육 과정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빙산 메타포 모형에 기반한 관계 중심 대화 양상 분석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수업 개발 연구
- 초·중·고 국어과 사과 교육 내용의 개선 방향
- 어간말 자음의 실현 양상
-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중급 한국어 교육 방안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미디어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연구
-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 제시된 기능의 교과서 반영 양상 연구
-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복합 조사의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댓글 담화 분석을 통한 인터넷 게시판 글쓰기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연구
- 담화표지 ‘아니’의 한국어 교육용 의미 기능 선정 연구
- 퍼스의 기호작용에 기반한 필자의 메타언어적 인지 작용 고찰
- 유학생 대상 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인식 조사 연구
- IB 디플로마 지식론(Theory of Knowledge)의 소개와 국어 교과의 지식 질문 검토
- 데이터 기반 학습(Data-Driven Learning)을 통한 학문 목적 쓰기 교육 연구
- 인공지능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오래된 과제와 새로운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