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복합 조사의 사용 양상 연구
이용수 34
- 영문명
- A Study on Usage Patterns of Compound Postpositions for Teaching Korea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서강보 정해권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25호, 417~44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조사와 같은 첨가 요소가 많은 한국어는 복잡도가 높은 언어에 속하는데, 조사의 다양한 종류와 용법으로 인하여 한국어 학습자는 학습 초기부터 습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조사의 형태 복잡도와 사용 양상을 밝히고 복합 조사 제시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방법: 한국어에서 조사가 복합적으로 결합되는 양상과 통합 복잡도(syntagmatic complexity)를 산출하여 조사를 다차원적 네트워크로 파악하고, 실제 말뭉치와 한국어 교재에 반영되는 복합 조사의 노출 양상을 확인하였다. 결과: 말뭉치에서 73개의 단일 조사가 고빈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2개 이상의 복합 조사는 물론, 우언 조사도 적지 않게 출현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어 교재에서 복합 조사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지만 객관적인 통계에 근거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결론: 실제 생활에서 학습자들은 교재에 제시된 것보다 훨씬 많은 복합 조사를 사용하고 있지만 한국어 교육용 조사 목록에는 이러한 복합 조사들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출현 빈도와 공기 관계를 바탕으로 한 객관적 기준에 따라 복합 조사 목록을 제시하고 이를 교재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Korean is a highly complex language because it has many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ostpositions. From the beginning level, Korean language learners are having difficulties in acquiring postpositions due to their various types and usag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mor- phological complexity and usage patterns of postpositions and to propose some reformation for teaching compound postpositions.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mplex combination of Korean postpositions, calculates syntagmatic complexity using entropy, and identifies postpositions as a multidimensional network. The usage patterns of compound postpositions in corpus and textbooks was confirmed. Results: 73 single postpositions with high frequency were found, and not only compound postpositions of two or more combined but also periphrastic postpositions appeared not a few. And it was confirmed that various compound postpositions are presented in Korean textbooks, but not based on statistics. Conclusion: Although learners use much more than the compound postpositions being taught, they are not properly reflected in the list of postpositions for teach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sent a list of compound postpositions based on frequency and co- occurrence.
목차
1. 서론
2. 복합 조사의 형태복잡도
3. 복합 조사의 사용 양상
4. 교육적 제언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빙산 메타포 모형에 기반한 관계 중심 대화 양상 분석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수업 개발 연구
- 초·중·고 국어과 사과 교육 내용의 개선 방향
- 어간말 자음의 실현 양상
-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중급 한국어 교육 방안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미디어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연구
-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 제시된 기능의 교과서 반영 양상 연구
-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복합 조사의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댓글 담화 분석을 통한 인터넷 게시판 글쓰기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연구
- 담화표지 ‘아니’의 한국어 교육용 의미 기능 선정 연구
- 퍼스의 기호작용에 기반한 필자의 메타언어적 인지 작용 고찰
- 유학생 대상 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인식 조사 연구
- IB 디플로마 지식론(Theory of Knowledge)의 소개와 국어 교과의 지식 질문 검토
- 데이터 기반 학습(Data-Driven Learning)을 통한 학문 목적 쓰기 교육 연구
- 인공지능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오래된 과제와 새로운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