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인 유학생 대상 대학생활형 멘토링 프로그램 사례 연구
이용수 229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University-Life Mentoring Program for Chinese Students: Focusing on the Operational Case of S University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김재희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6권 제5호, 381~39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유학생 대상 비교과 프로그램의 사례를 분석하고 해당 프로그램에서 기대할 수 있는 효과와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충청남도 소재 S 대학 교양교육원에서 2021학년도 1학기와 2학기 두 학기 동안 운영한 중국인 유학생 대상 대학생활형 멘토링 프로그램의 실행 사례를 검토하고 참가자들의 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비교과 활동의 목적에 따른 ‘학업 증진’, ‘대학 적응’, ‘대인관계’, ‘문화교류’, ‘진로 및 취업’의 다섯 가지 영역을 기준으로 하여 활동 내용을 분류하고 특정 영역의 활동에 치우치지 않도록 활동계획서를 작성하여 조별 활동을 실행하게 하였다. 활동 종료 후에 프로그램 참여자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멘토와 멘티는 새로운 대인관계 형성 및 확장, 언어 실력 향상, 상호 문화의 이해, 대학 적응에 도움, 진로와 관련된 개인역량 함양 등에 멘토링 프로그램이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멘토링 활동을 수행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이나 개선점에 대해서 프로그램의 홍보 부족, 멘토의 멘티 전공에 대한 지식 부족, 조 구성 인원 확대, 활동 횟수 및 기간 부족에 관한 의견이 있었다. 본고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향후 멘토링 프로그램 설계 시 외국인 유학생이 비교과 프로그램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멘티의 한국어 수준과 전공 등 학습자 특성을 고려하여 멘토를 배정하며, 서로의 언어와 문화를 소개하고 교류하면서 상호문화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활동이 개발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또한 외국인 재학생들에게 외국인 신입생의 멘토가 되어 활동할 기회를 제공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고,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담당교수와 멘토, 멘티의 협업이 잘 이루어져야 하며, 멘토와 멘티가 지속적인 교류를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비교과 교육과정이 구축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se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nd to consider the effects that can be expected from these programs, as well as the points in need of consideration when it comes to their operation. To this end, we reviewed the implementation cases of the mentoring program for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operated by S University’s Liberal Arts Education Center located in Chungcheongnam-do for two semesters of 2021, along with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of the mentoring program. To this end, the contents of the activities are classified based on the five areas of: ‘Academic Promotion’, ‘University Adaptation’, ‘Interpersonal Relations’, ‘Cultural Exchange’, and ‘Career and Employmen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Moreover, in order not to show any bias, an activity plan was prepared and group activities were carried out.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satisfaction of the program’s participants upon their completion of the activity, mentors and mentees recognized that the mentoring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Promotion, College Adapt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ultural Exchange. Regarding the most difficult point concerning the mentoring activity, and the points upon which the most improvement might be made, the participants stated that there was a lack of publicity of the program, the mentor’s lack of knowledge about the major of the mentees, the lack of expansion among the group members, and the number and duration lack of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is paper aims to make it easier for international students to access extracurricular activities when designing future mentoring programs, to assign mentors according to their mentee’s Korean level as well as to their learning characteristics, i.e., their majors, and to have the participants do a better job at introducing their own language and culture. It was suggested that activities that can improve mutual cultural competency through various exchanges should be developed. In addition, to create a virtuous cyclical structure that provides foreign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become mentors for foreign freshmen, and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program, collaboration between professors, mentors, and mentees must be successful, ensuring that mentors and mentees can continue to communicate. Finally, this study shows that continuous and systematic extracurricular activities should be establish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중국인 유학생 대상 대학생활형 멘토링 프로그램운영 사례
4. 중국인 유학생 대상 대학생활형 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조사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교양국어 수업에서 동영상 발표에 대한 교육항목
- 대학생의 데이터 리터러시 측정 도구 타당화 및 신입생 데이터 리터러시 진단
-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창의⋅비판적 사고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대학생의 역량중심 교양교육과정 만족도 및 요구 분석
- Effects of ESP Courses on Chinese Health Vocational College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 논증적 과학글쓰기의 특성과 목표에 따른 평가준거와 평가틀 제안
-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명사형 전성어미 ‘-음’과 ‘-기’ 수업 개발 연구
- 학습자 맞춤형 고전교육의 가능성 탐색
-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자기소개서 수업에 관한 질적 연구
- 디자인씽킹 기반 SW기초 교양 교육에서 사전 SW교육 경험에 따른 수업효과성 분석
- 행복한 삶을 위한 역량으로서 플로리싱(Flourishing) 내용 비교 연구
- 수업목표 분석기반 대학 교양 교육과정 운영 개선 방안 탐색
- 코로나19 전후 기초미적분학의 내용 영역별 수학학업성취도 비교분석
- 메타버스 시대, 교양교육 텍스트로서 <구운몽> 읽기
- 글쓰기 효능감 향상을 위한 교과 운영 및 피드백 방안
- 항목 분석에 기초한 취업용 자기소개서 작성 지도 방안
- A Case Study: Korean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with and Perceptions of an Academic English Writing Class
- 근원적 인지메커니즘을 통한 인성의 정체성 탐구
- <명저 읽기> 과목에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수업사례 연구
- 자유학예교육의 현대적 변용을 위한 조건과 방향 탐색
- 교양교육연구 제16권 제5호 목차
- 중국인 유학생 대상 대학생활형 멘토링 프로그램 사례 연구
-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활용한 교양강좌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사례 연구
- 시대 전환기에 제기하는 국립교양대학
- 대학생의 수업에서의 예술 경험 과정에 대한 교육학적 이해
- 외국인 유학생 대학 생활 적응 프로그램 연구
- 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한 교양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