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창의⋅비판적 사고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용수 240
-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Competency Diagnostic Scale Using Item Response Theory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김종숙 김영우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6권 제5호, 317~33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 목적은 창의⋅비판적 사고역량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필고사 형태의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사고교육 전문가의 타당도 검증을 거친 톡트(TOCT) 문항 중 I대학 학부생에게 맞게 수정⋅보완한 40문항을 가지고 2021년 1월 예비검사를 거쳐 20개 문항을 최종 확정하였다. 그리고 2021년 10월에는 예비검사에서 개발한 진단도구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기초교양 사고교육영역 ‘논리적 사고’ 교과목 수강자 93명을 대상으로 본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진단도구는 5지선다형 객관식 문항으로 포괄적 이해, 창조적 구성, 합리적 평가, 문제해결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통계량, 상관관계 분석, 신뢰도 분석, 문항반응이론의 2-모수 로지스틱모형을 활용하여 문항별 정답률, 독립성, 신뢰도, 문항특성 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의 진단평가 평균 점수는 20점 만점에 9.26점으로 낮은 정답률(46.3%)을 보였다. 둘째, 상관관계 분석 결과 포괄적 이해와 문제해결 간, 창조적 구성과 문제해결 간, 창조적 구성과 합리적 평가 간 다소 낮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상관계수가 0.4 미만으로 다중공선성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신뢰도 분석 결과 하위영역별 문항난이도가 적절한 문항이 상대적으로 적어 신뢰도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넷째, 문항난이도 분석 결과 난이도가 쉬운 문항 8개, 적절한 문항 5개, 어려운 문항 7개로 나타났다. 다섯째, 문항변별도 분석 결과 변별도가 있는 문항 4개, 높은 문항 6개였지 만 10개 문항은 변별도가 없는 문항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창의⋅비판적 사고역량 진단도구가 지니는 한계점과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diagnostic scale in the form of a written test from which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two key competencies at university) can be objectively measured. The research method consisted of 40 questions,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suit the undergraduate students of I University, from the TOCT questionnaire. This survey had been verified for its validity by education professionals. It was used in a preliminary test in January 2021, and narrowed down to 20 questions. Furthermore, in October 2021 the official test was conducted on 93 students enrolled in the ‘Logical Thinking’course for the unit of Thinking Education as a basic subject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iagnostic scale developed in the preliminary test. This diagnostic scale comprises objective multiple choice questions with 5 possible answers in the areas of comprehensive understanding, creative composition, objective evaluation, and problem-solving. This study used a two-parameter logistic model of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item response theory to examine the correction rate, independence, reliability and question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e following: First, the average score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displayed a low correction rate (46.3%) of 9.26 out of 20. Second,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displayed a rather low positive (+)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problem-solving between creative composition and problem-solving, as well as between creative composition and objective evaluation. However,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less than 0.4, which indicated that there is no multi-collinearity. Third, the result of the reliability analysis displayed a very low reliability due to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questions having a suitable item difficulty in each sub-category. Fourth, the result of the item difficulty analysis displayed 8 easy questions, 5 moderately difficult questions and 7 difficult questions. Fifth, the result of item discrimin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4 questions with item discrimination, and 6 questions with high discrimination, whereas 10 questions had no item discrimination.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inherent in the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diagnostic scale were discuss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교양국어 수업에서 동영상 발표에 대한 교육항목
- 대학생의 데이터 리터러시 측정 도구 타당화 및 신입생 데이터 리터러시 진단
-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창의⋅비판적 사고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대학생의 역량중심 교양교육과정 만족도 및 요구 분석
- Effects of ESP Courses on Chinese Health Vocational College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 논증적 과학글쓰기의 특성과 목표에 따른 평가준거와 평가틀 제안
-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명사형 전성어미 ‘-음’과 ‘-기’ 수업 개발 연구
- 학습자 맞춤형 고전교육의 가능성 탐색
-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자기소개서 수업에 관한 질적 연구
- 디자인씽킹 기반 SW기초 교양 교육에서 사전 SW교육 경험에 따른 수업효과성 분석
- 행복한 삶을 위한 역량으로서 플로리싱(Flourishing) 내용 비교 연구
- 수업목표 분석기반 대학 교양 교육과정 운영 개선 방안 탐색
- 코로나19 전후 기초미적분학의 내용 영역별 수학학업성취도 비교분석
- 메타버스 시대, 교양교육 텍스트로서 <구운몽> 읽기
- 글쓰기 효능감 향상을 위한 교과 운영 및 피드백 방안
- 항목 분석에 기초한 취업용 자기소개서 작성 지도 방안
- A Case Study: Korean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with and Perceptions of an Academic English Writing Class
- 근원적 인지메커니즘을 통한 인성의 정체성 탐구
- <명저 읽기> 과목에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수업사례 연구
- 자유학예교육의 현대적 변용을 위한 조건과 방향 탐색
- 교양교육연구 제16권 제5호 목차
- 중국인 유학생 대상 대학생활형 멘토링 프로그램 사례 연구
-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활용한 교양강좌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사례 연구
- 시대 전환기에 제기하는 국립교양대학
- 대학생의 수업에서의 예술 경험 과정에 대한 교육학적 이해
- 외국인 유학생 대학 생활 적응 프로그램 연구
- 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한 교양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