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Learner-tailored Learning in Classics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조혜경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6권 제5호, 51~6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고전교육에서 학습자 맞춤형 개인 및 팀 기반 활동 병행 수업의 운영 사례를 분석하고 수강생의 고전교육 전반에 대한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고전교육의 교수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논문에서 제기된 연구 문제는 첫째, 고전교육에서 학습자 맞춤형 교육은 무엇이 고 어떠한 방법으로 가능한가? 둘째, 개인 맞춤형 교육으로서 독서 노트는 어떻게 구성되고 활용되어야 하는가? 셋째, 팀 맞춤형 교육으로서 토의는 어떻게 운영되어야 하는가? 넷째, 개인 활동과 팀 활동 간의 관계는 어떠하여야 하며 두 활동의 시너지 효과는 무엇인가이다. 제기된 문제에 대한 연구 결과, 학습자의 특성, 즉 다양한 매체에 노출되어 즉각적인 피드백을 선호하 는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온라인 게시판 활용이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즉 교수자가 수업 이전 작성된 학습자의 독서 노트에 대한 1:1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첫째, 고전 통독 수업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라포 형성과 학습자의 성취감, 자신감, 도전정신 함양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교수자는 학습자 개개인의 특성과 수준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강의 준비를 할 수 있다. 둘째, 독서 노트와 팀 활동 평가의 비중을 총 50%로 함으로써 결과만이 아닌, 과정 중심의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었다. 셋째, 사전 학습을 병행한 독서 노트 작성이 본 수업과 팀 활동에 적극 참여하는 결과를 낳았다. 넷째, 개인 활동은 창의 역량과 자기주도 학습역량을, 팀 활동은 개인 활동에서 소홀히 다뤄질 수 있는 소통 및 협업 역량을 함양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 있음을 학습자의 설문 응답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러나 학습자 맞춤형 수업이 좀 더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수강생 규모를 줄이고 두 개의 작품을 한 학기에 동시에 진행하기보다는 하나의 작품만을 선택하여 진행함으로써 강의와 토의 활동이 원만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과제가 남는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btain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teaching method of classics education by analyzing the case of the learner-tailored individual and team-based activity parallel classes for the cultivation of core competencies in classics education, as well as to gain an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perceptions of classics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 raised in this paper is first, what is learner-customized education in classics education and how is it possible? Second, how should reading notes be structured and utilized as learner-tailored education? Third, how should the discussion be operated as a team-customized education? Fourth, what should b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activities and team activities, and what is the synergistic effect of the two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on the problems raised, the instructor can provide 1:1 feedback on the students’ reading notes written before class by using the online bulletin board reflecting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t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who prefer immediate feedback due to exposure to various media. First, this can help to form a rapport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and to cultivate the learners’ sense of achievement, self-confidence, and challenging spirit in the classics whole reading class. In addition, the instructor can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earner and prepare effective lectures. Second, by setting the weight of reading notes and the team activity evaluation to 50%, evaluation based on the process rather than the result can be made. Third, reading notes combined with prior learning lead to active participation in this class and team activities. Fourth,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questionnaire responses of learners that individual activities help to cultivate creativ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and that team activities help to cultivat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skills that can be neglected in individual activities. However, in order for the learner-tailored class to become more active, the task remains to reduce the number of students and select only one work, rather than teaching two works at the same time, so that lectures and discussion activities can proceed smoothly.
목차
1. 서론
2. 본론
3.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교양국어 수업에서 동영상 발표에 대한 교육항목
- 대학생의 데이터 리터러시 측정 도구 타당화 및 신입생 데이터 리터러시 진단
-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창의⋅비판적 사고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대학생의 역량중심 교양교육과정 만족도 및 요구 분석
- Effects of ESP Courses on Chinese Health Vocational College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 논증적 과학글쓰기의 특성과 목표에 따른 평가준거와 평가틀 제안
-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명사형 전성어미 ‘-음’과 ‘-기’ 수업 개발 연구
- 학습자 맞춤형 고전교육의 가능성 탐색
-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자기소개서 수업에 관한 질적 연구
- 디자인씽킹 기반 SW기초 교양 교육에서 사전 SW교육 경험에 따른 수업효과성 분석
- 행복한 삶을 위한 역량으로서 플로리싱(Flourishing) 내용 비교 연구
- 수업목표 분석기반 대학 교양 교육과정 운영 개선 방안 탐색
- 코로나19 전후 기초미적분학의 내용 영역별 수학학업성취도 비교분석
- 메타버스 시대, 교양교육 텍스트로서 <구운몽> 읽기
- 글쓰기 효능감 향상을 위한 교과 운영 및 피드백 방안
- 항목 분석에 기초한 취업용 자기소개서 작성 지도 방안
- A Case Study: Korean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with and Perceptions of an Academic English Writing Class
- 근원적 인지메커니즘을 통한 인성의 정체성 탐구
- <명저 읽기> 과목에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수업사례 연구
- 자유학예교육의 현대적 변용을 위한 조건과 방향 탐색
- 교양교육연구 제16권 제5호 목차
- 중국인 유학생 대상 대학생활형 멘토링 프로그램 사례 연구
-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활용한 교양강좌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사례 연구
- 시대 전환기에 제기하는 국립교양대학
- 대학생의 수업에서의 예술 경험 과정에 대한 교육학적 이해
- 외국인 유학생 대학 생활 적응 프로그램 연구
- 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한 교양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