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자기소개서 수업에 관한 질적 연구
이용수 133
- 영문명
- A Study on Teaching for Writing a Self-introduction: Focusing on the lecturer's reflective narrative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임이랑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6권 제5호, 113~12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대학 교양교과를 담당하는 필자가 자기소개서 수업 현장에서 교수자로서 겪는 한계와 곤란이 무엇인지 성찰적 내러티브 기술을 통해 점검한 질적 연구이다. 필자의 교수(teaching) 행위를 분석한 결과 몇 가지 문제가 발견되었다. 첫째, 학생들이 몰입할 만한 작문의 여건과 상황은 충분히 마련해주지 못한 채 과도한 성취목표를 설정한 점이다. 둘째, 자기소개서라는 작문과제의 곤란도를 수업의 면면에서 지나치게 반복하여 강조한 점이다. 셋째, 자기소개서의 항목을 기계적으로 분류하고 그 항목에 따른 예문을 또한 편향적으로 제시한 점이다. 즉, 필자의 수업은 ‘자기소개서 작성의 어려움과 복잡함’에 매몰되어 결국 학생들의 성취도 부진이라는 결과를 낳았다. 이에 필자는 다음과 같은 점을 유념하면서 수업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먼저 취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격차를 보다 세심하게 고려하여 수업 설계에 반영하려 한다. 학년별로 취업에 대해 느끼는 예민함의 편차가 크기 때문에 수강생의 학년 분포를 살펴 수업의 성취목표를 유연하게 조정하고, 특히 신입생 위주의 수업에서는 자기소개서가 요구되 는 취업 이외의 상황들을 확장적으로 예시하고자 한다. 아울러, AI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자기소개서와 관련한 공학논의들이 다양하게 발표되고 있으므로 좋은 자기소개서를 판별할 수 있는 딥러닝 모델 개발과 같은 주요 논의는 수업 현장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보다 정교하고 다채로운 교수법의 변화를 통해 자기소개서에 대한 학생들의 막연한 두려움이 상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qualitative research that examines the limitations and difficulties experienced as an instructor in the field of a self-introduction class through the use of reflective narrative technology. As a result of analyzing my teaching, my class was buried in the ‘difficulty and complexity of writing a self-introduction’, resulting in the poor achievement of students. Accordingly, I trie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class while keeping the following in mind. First, the dimness in the students’ perception when it comes to their future employment is considered more carefully and reflected in the class design. In addition, with the advent of the AI era, various engineering discussions related to self-introductions are being announced. Thus, major discussions, such as developing a deep learning model that can identify good self-introductions, will be actively used in the class. It is hoped that the students’ vague fear of self-introductions can be offset through more sophisticated and colorful changes in teaching methods.
목차
1. 서론
2. 연구 설계 및 연구 방법
3. 교수(teaching) 행위의 양상 분석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교양국어 수업에서 동영상 발표에 대한 교육항목
- 대학생의 데이터 리터러시 측정 도구 타당화 및 신입생 데이터 리터러시 진단
-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창의⋅비판적 사고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대학생의 역량중심 교양교육과정 만족도 및 요구 분석
- Effects of ESP Courses on Chinese Health Vocational College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 논증적 과학글쓰기의 특성과 목표에 따른 평가준거와 평가틀 제안
-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명사형 전성어미 ‘-음’과 ‘-기’ 수업 개발 연구
- 학습자 맞춤형 고전교육의 가능성 탐색
-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자기소개서 수업에 관한 질적 연구
- 디자인씽킹 기반 SW기초 교양 교육에서 사전 SW교육 경험에 따른 수업효과성 분석
- 행복한 삶을 위한 역량으로서 플로리싱(Flourishing) 내용 비교 연구
- 수업목표 분석기반 대학 교양 교육과정 운영 개선 방안 탐색
- 코로나19 전후 기초미적분학의 내용 영역별 수학학업성취도 비교분석
- 메타버스 시대, 교양교육 텍스트로서 <구운몽> 읽기
- 글쓰기 효능감 향상을 위한 교과 운영 및 피드백 방안
- 항목 분석에 기초한 취업용 자기소개서 작성 지도 방안
- A Case Study: Korean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with and Perceptions of an Academic English Writing Class
- 근원적 인지메커니즘을 통한 인성의 정체성 탐구
- <명저 읽기> 과목에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수업사례 연구
- 자유학예교육의 현대적 변용을 위한 조건과 방향 탐색
- 교양교육연구 제16권 제5호 목차
- 중국인 유학생 대상 대학생활형 멘토링 프로그램 사례 연구
-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활용한 교양강좌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사례 연구
- 시대 전환기에 제기하는 국립교양대학
- 대학생의 수업에서의 예술 경험 과정에 대한 교육학적 이해
- 외국인 유학생 대학 생활 적응 프로그램 연구
- 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한 교양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