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활용한 교양강좌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사례 연구
이용수 219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Liberal Arts Subjects Using Micro-Learning Content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도현미 이혜승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6권 제5호, 301~31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경험을 분석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기 위한 마이크로러닝의 개발 및 운영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소재 S 대학이 운영하는 K-MOOC 강좌를 마이크로러닝 콘텐츠 로 개발하여 운영하였다. 강의를 수강한 총 213명 중 설문에 참여한 107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기존 온라인 학습에 대한 학습자 인식, 마이크로러닝 콘텐츠에 대한 경험, 기존 이러닝과 마이크로러닝 강좌의 비교로 제시되었다. 학습자들은 마이크로러닝 콘텐츠가 짧고 핵심만을 다뤄 기존의 온라인 강의보다 집중력이 향상되며, 반복수강이 부담스럽지 않아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교수자는 마이크로러닝으로 강좌를 설계하고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에 대한 시간적 여유나 환경적인 지원 부분에 대한 아쉬움을 토로하였다. 반면, 학습자들의 높은 만족도와 콘텐츠의 다양한 활용방안을 생각하여 계속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개발할 것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이나 정형화된 수업에서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어떻게 개발하고 운영할 것인지 사례를 제시하고 시사점을 밝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experiences of instructors and learners who were using micro-learning content, and suggests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plan of micro-learning to apply it to actual classe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K-MOOC courses operated by S University in Gyeonggi-do were developed and operated as micro-learning content. Of the 213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the lecture, 107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earch results covered learner perception of existing online learning, their experience of micro-learning content, and their course satisfaction. Learners perceived that the micro-learning content was short and focused only on the core material, improving their concentration compared to existing online lectures, and that repetitive classes were not burdensome. Thus, they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program. However, the instructors expressed regret over time constraints and the lack of environmental support for designing courses and developing content through micro-learning. On the other hand, instructors said that they would continue to develop micro-learning content in consideration of the high satisfaction of the learners and that they would consider various ways to better utilize the content. Based on these results, examples of how to develop and operate micro-learning content in universities and/or standardized classes were presented and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활용한 교양강좌 개발 및 운영
4.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활용한 강좌의 효과성 검증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교양국어 수업에서 동영상 발표에 대한 교육항목
- 대학생의 데이터 리터러시 측정 도구 타당화 및 신입생 데이터 리터러시 진단
-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창의⋅비판적 사고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대학생의 역량중심 교양교육과정 만족도 및 요구 분석
- Effects of ESP Courses on Chinese Health Vocational College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 논증적 과학글쓰기의 특성과 목표에 따른 평가준거와 평가틀 제안
-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명사형 전성어미 ‘-음’과 ‘-기’ 수업 개발 연구
- 학습자 맞춤형 고전교육의 가능성 탐색
-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자기소개서 수업에 관한 질적 연구
- 디자인씽킹 기반 SW기초 교양 교육에서 사전 SW교육 경험에 따른 수업효과성 분석
- 행복한 삶을 위한 역량으로서 플로리싱(Flourishing) 내용 비교 연구
- 수업목표 분석기반 대학 교양 교육과정 운영 개선 방안 탐색
- 코로나19 전후 기초미적분학의 내용 영역별 수학학업성취도 비교분석
- 메타버스 시대, 교양교육 텍스트로서 <구운몽> 읽기
- 글쓰기 효능감 향상을 위한 교과 운영 및 피드백 방안
- 항목 분석에 기초한 취업용 자기소개서 작성 지도 방안
- A Case Study: Korean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with and Perceptions of an Academic English Writing Class
- 근원적 인지메커니즘을 통한 인성의 정체성 탐구
- <명저 읽기> 과목에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수업사례 연구
- 자유학예교육의 현대적 변용을 위한 조건과 방향 탐색
- 교양교육연구 제16권 제5호 목차
- 중국인 유학생 대상 대학생활형 멘토링 프로그램 사례 연구
-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활용한 교양강좌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사례 연구
- 시대 전환기에 제기하는 국립교양대학
- 대학생의 수업에서의 예술 경험 과정에 대한 교육학적 이해
- 외국인 유학생 대학 생활 적응 프로그램 연구
- 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한 교양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