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 Case Study: Korean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with and Perceptions of an Academic English Writing Class

이용수 19

영문명
사례 연구: 한국 대학생들의 학문적 영어 글쓰기 수업에 대한 경험 및 인식 조사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복은임 조영상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6권 제5호, 171~18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0.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사례연구는 2022학년도 1학기에 학문적 영어 글쓰기 강좌를 수강한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학문적 영어 글쓰기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와 대학 필수 교양영어과목으로서의 적합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자료는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설문지는 리커트 척도, 선다형, 개방형 질문 등으로 구성되었다. 총 65명의 1학년 수강생들이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이 중 3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이메일 혹은 줌(Zoom)을 통해 심층인터뷰도 진행하였다. 리커트 척도 질문과 선다형 질문은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개방형 질문과 인터뷰 질문분석에는 내용 분석 방법이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 결과, 대다수의 학생들은 학문적 영어 글쓰기 수업 내용과, 수업을 통한 성취감, 교수자의 수업 진행 방식등에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부정적인 반응 역시 나타났는데, 이는 대부분 수업 내용의 어려움, 학점에 비해 과도한 수업 내용 및 과제, 그리고 자신의 영어 능력 부족으로 인한 수업에서의 뒤처짐 등에서 기인하는 것이었다. 본 수업을 통한 글쓰기 능력 향상 측면에서, 많은 학생들이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자체평가를 내렸으며, 자신들에게 도움이 되었다고 느꼈던 수업 활동으로는 에세이 쓰기, APA 스타일 및 인용법 등과 같은 학문적 글쓰기 형식 및 규칙 학습, 그리고 교수자의 첨삭 등을 꼽았다. 학문적 영어 글쓰기가 교양필수 과목으로서 적합한지를 묻는 질문에 긍정적으로 답변한 학생들이 대다수였다. 그에 대한 이유로는 학문적 영어 글쓰기가 전문적 지식을 배양하는 학술 커뮤니티에 입문한 대학생으로서 반드시 지녀야 할 필수적인 지식이라는 점과 영어 수업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문 영역에서 필요한 전이가능한 지식이라는 점이 언급되었다. 또한, 대학이 아닌 다른 곳에서는 배울 기회가 적다는 점 또한 교양필수 과목으로서 학문적 영어 글쓰기의 필요성을 학생들이 인식하는 원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한 몇 가지 제안점이 도출되었다. 학교 차원에서는 학문적 영어 글쓰기 과목의 이수 학점을 증가하고 더 많은 혜택을 위해 2학년이나 3학년 학생을 위한 수업으로도 바람직해 보인다. 또한, 학생들의 학문적 영어 글쓰기 능력향상을 효과적으로 이끌기 위해, 교수자 역시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수업 운영 및 녹화강의와 같은 보충 학습자료 제공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examine Korea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academic English writing class they took during the Spring semester of 2022.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satisfied students were with their learning experiences in the academic English writing class, and how they perceived its appropriateness as a mandatory English general education offered in the Korean higher education context. A survey questionnaire consisting of Likert-scale, multiple choice, and open-ended questions was the main source of the data, and a total of 65 freshmen taking the course responded. To triangulate, in-depth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with three focal participants via email or Zoom upon their choice.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lculated to analyze the responses to the Likert-scale and the multiple-choice questions, and th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applied for open-ended survey questions and interviews. Analysis of data showed that students viewed their academic English writing experiences positively due to the content knowledge and sense of achievement gained through the class as well as the instructor’s teaching style. Some participants were dissatisfied with their learning experiences because of content difficulty, relatively heavy workload, and their insufficient English proficiency which hindered them from following the class. Most students self-evaluated that their writing skills after the class somewhat improved. Students chose writing an essay, learning about academic writing conventions, such as APA styles and in-text citations, and instructor’s feedback as class activities that helped them improve their academic English writing. To the question about the appropriateness of academic English writing as a mandatory general education subject, a vast majority of students hold a positive view. Their reasons include their belief of academic English writing as essential knowledge that they need to possess as a university student belonging to an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as well as transferable knowledge needed not only in an English class but also in various disciplines. They also recognize its practicality for their academic activities and its rarity to learn anywhere else except university. The findings suggest that school administrators should allocate more credit hours for an academic English writing course and offer it for students in their 2nd or 3rd year of university. The findings als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nstructors’ effort to tailor their instruction according to their students and to provide supplementary learning materials, such as pre-recorded videos so as to effectively guide students to improve their skills for English writing for academic purposes.

목차

1. Introduction
2. Literature Review
3. Methods
4. Results and Discussions
5. Conclusion and Implication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복은임,조영상. (2022).A Case Study: Korean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with and Perceptions of an Academic English Writing Class. 교양교육연구, 16 (5), 171-188

MLA

복은임,조영상. "A Case Study: Korean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with and Perceptions of an Academic English Writing Class." 교양교육연구, 16.5(2022): 171-1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