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메타버스 시대, 교양교육 텍스트로서 <구운몽> 읽기
이용수 195
- 영문명
- Reading Kuunmong: The Cloud Dream of the Nine a s a Liberal Arts Education Text in the Metaverse Era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박은정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6권 제5호, 69~8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버스 개념을 활용한 <구운몽> 읽기 수업 사례를 고찰함으로써 고전 읽기 수업의 방법을 모색하고 교양교육 텍스트로서 <구운몽>의 가치를 재조명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고전 읽기를 제대로 수행하게 하기 위해서 교수자는 무엇을, 어떻게 읽힐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본 수업에서는 시대적 흐름과 학생들의 흥미를 고려하여 <구운몽> 읽기에 메타버스 개념을 접목하였다. 읽기에서는 완독의 중요성, 현재적 관점의 읽기, 자서전적 읽기, 엮어 읽기 등을 강조하였다. 조별 토론과 동료 피드백을 강화함으로써 학생들의 참여와 흥미를 제고할 수 있었다. <구운몽>의 꿈속 세계와 메타버스 가상세계의 유사성에 대한 설명을 통해 학생들은 <구운몽>에 보다 흥미롭게 접근하고 텍스트의 주제를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구운몽>을 읽고 쓴 에세이에서 사랑과 소통의 방식, 욕망을 대하는 자세, 경험과 행동의 중요성, 현실감 상실의 문제, 통합적 사유의 중요성 등을 주제로 다루었고 이 문제들에 대한 해법을 탐색해 나갔다. 이 문제들은 교양교육의 목표나 <구운몽>의 주제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에서, 메타버스의 자장 안에서 <구운몽> 읽기 수업이 교양교육의 목표 달성과 <구운몽> 이해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By examining a series of classes engaged in the reading of Kuunmong: The Cloud Dream of the Nine with the concept of the metaverse in mind,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 method of how to instruct students when it comes to reading the classics. This study also aims at getting students to rediscover the value of Kuunmong as a liberal arts education text. In order to ensure that students read difficult classical literature properly, an instructor needs to choose a proper work carefully and to consider how best to let the students read it. In our classes, reading Kuunmong was connected to the concept of the metavers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times in which we live, along with the interests of the students. In the reading part, the importance of actually finishing the reading, reading from the view point of the present world, autobiographical reading, reading together with related works, and so forth, were emphasized. Reinforcing group discussion and peer feedback increased the students’ participation and interests. Through the explanation of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dream world of Kuunmong and the virtual world of the metaverse, the students approached Kuunmong with more interest and understood the themes better. In addition, in essays they wrote after reading Kuunmong, they dealt with many related topics, such as the methods of love and communication, the attitudes toward desires, the importance of experiences and actions, the problems of losing one’s sense of reality, and the importance of integrated thinking. They also explored the solutions to these problems. These topics are not very different from the goals of liberal arts education and the themes of Kuunmong. In this regard, we can confirm that reading Kuunmong using the concept of the metaverse can contribute to the achievement of such goals and to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Kuunmong as a text.
목차
1. 서론
2. 메타버스 시대, 교양교육과 <구운몽>
3. 메타버스 시대, 교양교육 텍스트로서 <구운몽>의 가치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교양국어 수업에서 동영상 발표에 대한 교육항목
- 대학생의 데이터 리터러시 측정 도구 타당화 및 신입생 데이터 리터러시 진단
-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창의⋅비판적 사고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대학생의 역량중심 교양교육과정 만족도 및 요구 분석
- Effects of ESP Courses on Chinese Health Vocational College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 논증적 과학글쓰기의 특성과 목표에 따른 평가준거와 평가틀 제안
-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명사형 전성어미 ‘-음’과 ‘-기’ 수업 개발 연구
- 학습자 맞춤형 고전교육의 가능성 탐색
-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자기소개서 수업에 관한 질적 연구
- 디자인씽킹 기반 SW기초 교양 교육에서 사전 SW교육 경험에 따른 수업효과성 분석
- 행복한 삶을 위한 역량으로서 플로리싱(Flourishing) 내용 비교 연구
- 수업목표 분석기반 대학 교양 교육과정 운영 개선 방안 탐색
- 코로나19 전후 기초미적분학의 내용 영역별 수학학업성취도 비교분석
- 메타버스 시대, 교양교육 텍스트로서 <구운몽> 읽기
- 글쓰기 효능감 향상을 위한 교과 운영 및 피드백 방안
- 항목 분석에 기초한 취업용 자기소개서 작성 지도 방안
- A Case Study: Korean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with and Perceptions of an Academic English Writing Class
- 근원적 인지메커니즘을 통한 인성의 정체성 탐구
- <명저 읽기> 과목에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수업사례 연구
- 자유학예교육의 현대적 변용을 위한 조건과 방향 탐색
- 교양교육연구 제16권 제5호 목차
- 중국인 유학생 대상 대학생활형 멘토링 프로그램 사례 연구
-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활용한 교양강좌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사례 연구
- 시대 전환기에 제기하는 국립교양대학
- 대학생의 수업에서의 예술 경험 과정에 대한 교육학적 이해
- 외국인 유학생 대학 생활 적응 프로그램 연구
- 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한 교양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