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러시아 출토 한국식 청동기의 이해

이용수 67

영문명
A Study on Korean-style Bronze ware excavated from Russia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허준양(HEO JUN-YANG)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81집, 573~60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러시아 연해주 출토 한국식 청동기는 한국식동검, 다뉴경, 동사 등이며, 그출토지는 이즈베스토브까, 스코토보, 아누치노 유적이다. 이들 출토품은 동검의 구분마연, 다뉴경의 문양 등 한국의 고고자료와 공통된 요소가 관찰된다. 러시아의 한국식 청동기는 한국의 동북부지역(함경도 일대)을 거쳐 전파된 것으로, 함흥 리화동, 금야 룡산리 유적의 한국식동검, 동모, 다뉴경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대체로 다뉴조문경과 다뉴세문경의 전환기에 전파된 것으로분석된다. 일련의 고고자료는 상호 간 호혜적인 관계 속에 러시아 단결-크로우노브까문화와 병행되는 양상으로 이어지고, 집단의 이주(전파)는 한국식 청동기의 단순 모방이 아닌 기물의 기능까지 삽입되어 이뤄진 것이다. 특히 이즈베스토브까-스코토보 유적은 인접한 거리(직선거리 12km 정도)에 위치하여 집단 간교류 및 공유가 가능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한・러의 고고자료와 자연・지리적 여건은 양자의 교통로로 확인된다. 한・러의 교통로는 함흥→슬라반캬→스코토보→이즈베스토브까의 루트와 함흥→슬라반캬→(우수리스크)→아누치노의 루트로 파악되는 바이다. 현재의 고고자료로 볼 때, 러시아 출토 한국식 청동기는 한국 고고자료의 최북단 출토품으로판단된다. 다만 러시아 연해주의 한국식 청동기 출토 사례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며 추후의 자료를 통해 병행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Korean bronze wares excavated from Izvestovka・Shkotovo・Anuchino in Primorye, Russia include Korean bronze swords(韓國式銅劍), Bronze mirror with knobs(多紐鏡), and Bronze engraver(銅釶). T he e lements of these artifacts common to Korean archaeological materials such as the pattern of straight lines engraved separately on the edgehe of the copper sword and the pattern of the Bronze mirror with knobs were observed, and it is analyzed that they were generally spread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between the Bronze mirror with coarse linear designs(多紐粗文鏡) and the Bronze mirror with fine linear designs(多紐細文鏡). The Korean-style bronze ware of Russia was transmitted through the northeastern region of Korea (Hamgyeong-do area), and representative examples are the Korean-style bronze sword, Korean type bronze spearhead(銅矛), and Bronze mirror with knobs excavated from the ruins of Rihwa-dong in Hamheung and Ryongsan-ri in Geumya. These common archaeological materials are in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and parallel to the Russian Tuanjie-Krounovka culture. In particular, it is confirmed that the migration (propagation) of the group is not a simple imitation of the Korean bronze ware, but also the function of the object. Also, the Izvestovka-Shkotovo ruins are located at an adjacent distance (about 12km in a straight line), so that exchanges between groups and It seems possible to share. The archaeological data of Korea and Russia and the natural and geographical conditions are set as the transportation routes for both countries. The route between Korea and Russia is Hamheung→Slavankya →Shkotovo→Izvestovka (Krounovka) and Hamheung→Slavankya→ (Usurisk)→Anuchino. Judging from the current archaeological data, the Korean-style bronze ware excavated in Russia can be identified as the northernmost excavated object of Korean archaeological data. However, we look forward to future data on the insignificant excavation of Korean-style bronze ware in Primorye, Russia, and there is still ample room for parallel research.

목차

Ⅰ. 머리말
Ⅱ. 러시아 출토 한국식 청동기의 이해
Ⅲ. 고고자료의 검토
Ⅳ. 한・러의 교류와 교통로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준양(HEO JUN-YANG). (2022).러시아 출토 한국식 청동기의 이해. 민족문화논총, (), 573-601

MLA

허준양(HEO JUN-YANG). "러시아 출토 한국식 청동기의 이해." 민족문화논총, (2022): 573-6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