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단시점(斷時占)」과 낙저(洛渚) 이주천(李柱天)의 「하도(河圖)」・「낙서(洛書)」관

이용수 60

영문명
The Study on Danchijeom(「斷時占」) and “Hado”(「河圖」)・“Naksu”(「洛書」) of Yi Joo-Cheon(李柱天)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서근식(Seo Geun-Sik)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81집, 365~39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논문은 이주천의 단시점(斷時占)에 관하여 살펴본 것이다. 단시점 은 사주(四柱)・명리학(命理學)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이주천 같은유교지식인으로서의 모습과는 어울리지 않는다. 이주천이 단시점을 궁구(窮究)한 진짜 이유는 가장 낮은 단계의 단시점을 통해 「하도(河圖)」와 「낙서(洛書)」를 거쳐 가장 높은 단계의 주역(周易)과 서경(書經) 「홍범(洪範)」 에 이를 수 있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하도」와 「낙서」에 대해 이주천은 주로 불완전한 「낙서」에 대해 언급하고있다. 이주천이 「낙서」에 대해 관심을 가진 이유는 단시점이 누추하고 불완전하기 때문이다. 「낙서」의 9라는 숫자는 구성(九星)과 구궁(九宮) 등과 연결된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과 구궁은 팔괘(八卦), 오행(五行), 방위(方位), 천간(天 干), 지지(地支)와도 불완전하게 연결된다. 이를 통하여 세상만물 모두를 단시점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한 이주천의 모습을 상상할 수 있다. 이주천은 「단시점 점법(斷時占 占法)」을 만들어 단시점의 맨 뒤에 놓아사람들로 하여금 점(占)을 칠 수 있게 하였다. 이는 주희(朱熹)가 주역본의(周 易本義)에서 「서의(筮儀)」를 맨 처음에 놓은 것과는 서로 대조를 이룬다. 「15괘 천간 오행 길흉(十五卦天干五行吉凶)」에서는 입길(立吉), 입흉(立凶), 와길(臥吉), 와흉(臥凶)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주역의 길(吉)・흉(凶)・회(悔)・ 린(吝)과 비슷하게 여긴 것으로 보인다. 이는 이주천의 지향점이 단시점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주역에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thesis, Yi Ju-Cheon(李柱天)’s Dansijeom(斷時占) was examined. Dansijeom(斷時占) can be said to be one of Saju(四柱)・Myeongrihak(命 理學). Yet, it doesn’t harmonize with his being a Confucian intellectual. Accordingly, Yi Ju-Cheon(李柱天) thoroughly investigated Dansijeom(斷 時占) because he thought that one could reach the highest stage of I-ching(周易) and Shujing(書經) “Hongfan”(「洪範」)」 of after going through the lowest stage of Dansijeom(斷時占) and then “Hado”(「河圖」) and “Naksu”(「洛書」). Regarding “Hado”(「河圖」) and “Naksu”(「洛書」), Yi Ju-Cheon(李柱天) usually mentioned imperfect “Naksu”(「洛書」). He was interested in “Naksu”(「洛書」) in this way because Dansijeom(斷時占) was raunch and incomplete. The number nine in “Naksu”(「洛書」) is connected to Gusung(九星) and Gugung(九宮), etc. And Gusung(九星) and Gugung(九宮) are also linked imperfectly to Bagua(八卦), Wuxing(五行), Fangwei(方位), Tianggan(天干), and Dizhi(地支). Through this, we can imagine what Yi Ju-Cheon(李柱天) was like who intended to pursue all the things in the world. Yi Ju-Cheon(李柱天) created “Dansijeom fortune-telling method”(「斷時 占 占法」) and put it at the end, which made it possible for people to practice divination. It counterpoints the fact that Chu Hsi(朱熹) placed “Shiyi”(「筮儀」) at the beginning of Zhouyibenyi(周易本義). In “15 Goe Cheongan Ohaeng Gilhyung”(「十五卦天干五行吉凶」), Ipgil (立吉), Iphyung(立凶), Wagil(臥吉), and Wahyung(臥凶) were considered to be similar to Gil(吉)・Hyung(凶)・Hoe(悔)・Ryn(吝) in I-ching(周易). It shows that what Yi Ju-Cheon(李柱天) sought was not only in Dansijeom (斷時占) but also in I-ching(周易).

목차

Ⅰ. 머리말
Ⅱ. 이주천(李柱天)의 단시점(斷時占) 연구 목적
Ⅲ. 이주천(李柱天)의 「하도(河圖)」・「낙서(洛書)」관
Ⅳ. 「낙서」와 구성(九星)・28수(宿)의 관계
Ⅴ. 단시점의 점법(占法)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근식(Seo Geun-Sik). (2022).「단시점(斷時占)」과 낙저(洛渚) 이주천(李柱天)의 「하도(河圖)」・「낙서(洛書)」관. 민족문화논총, (), 365-390

MLA

서근식(Seo Geun-Sik). "「단시점(斷時占)」과 낙저(洛渚) 이주천(李柱天)의 「하도(河圖)」・「낙서(洛書)」관." 민족문화논총, (2022): 365-3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