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閒窓錄夢》에 나타난 旗人들의 공연문화

이용수 23

영문명
The Performance Culture of Bannermen in Xianchuanglumeng
발행기관
한국중국소설학회
저자명
최형섭(Choi, Hyoung-Seob)
간행물 정보
『중국소설논총』제67집, 157~18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穆齊賢의 《閒窓錄夢》을 중심으로 청대 중후기 旗人들의 공연문화를 살펴보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우선, 청대 기인들은 국가로부터 정기적으로 俸祿과 俸米를 받아 생활하였다. 그래서 그들은 어느 정도 경제적 여건을 갖추고 있었고, 시간적 여유도 있어 다양한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었다. 청대 북경의 문화 예술의 흥성은 이들 독특한 기인 계층의 출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다음으로, 기인들이 즐겼던 공연문화는 크게 子弟書, 戲劇, 木偶戱와 十不閑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한창록몽》을 통해 우리는 도광 연간에 큰 인기를 끌었던 설서 예인 石玉崑에 관해 비교적 상세히 파악할 수 있다. 기인들은 기분 전환할 목적으로, 손님을 접대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희곡 공연을 즐겼다. 목우회는 여성과 아이들을 동반하여 가족 단위로 보기에 적합한 공연 예술이었다. 十不閑은 주로 나이 든 여성들에게 인기가 있던 설창 예술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청대 북경은 크게 정치의 중심지인 자금성과 황성, 군대 주둔지인 내성, 상업과 오락 지역인 외성, 이렇게 세 개의 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당시 前門大街는 번화한 상업 지역이자 酒樓, 茶館, 戱園 등이 밀집되어 있는 유흥의 중심지로, 특히 大柵欗은 당시 공연예술의 거리로 꼽을 수 있다. 그래서 內城의 西城 지역에 거주하던 목제현은 성문을 나가 외성으로 가서 하루종일 공연을 보다가 저녁에 집으로 돌아오는 방식으로 공연을 관람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청대 중후기 旗人들의 공연문화 생활의 구체적인 정황들을 이해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formance cultures of Bannermen in the mid-late Qing Dynasty, focusing on Mu Qixian’s Xianchuanglumeng. First of all, Cheongdae Gisaengs regularly did it in each stateI got a lesson and a letter. First of all, Bannermen of Qing dynasty regularly received money and rice needed to live from the state. Therefore, they were able to enjoy a variety of cultural life because they were equipped with economic conditions to some extent and had time to spare. The rise of culture and art in Beijing during the Qing Dynasty is closely related to the emergence of these unique Bannermen class. Next, the performance culture enjoyed by Bannermen can be largely divided into zidishu(子弟書), drama, puppet play and shibuxian(十不閑). Through Xianchuanglumeng, we can get a comparatively detailed understanding of Shi Yukun(石玉崑), performer of traditional talking-singing arts that was very popular in the year of Emperor Daoguang. Bannermen enjoyed various theatrical performances for the purpose of entertaining guests and for the purpose of refreshing themselves. Puppet play was a performing art suitable for families with women and children. It is presumed that Shibuxian was mainly traditional talking-singing arts to be popular with older women. Lastly, Beijing in the Qing dynasty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hree spaces: the Forbidden City and the Imperial City as the political center, the inner city as the military base, and the outer city as the commercial and entertainment area. At that time, Qianmen street was a bustling commercial area and entertainment district where bar, tea houses, theater etc. were concentrated. In particular, Dazhalan street could be counted as the distance of performing arts at that time. Therefore, Mu Qixian, who lived in the western part of the inner city, went out of the castle gate to the outer city, watched the performances all day, and then returned home in the evening. Through the discussion so far,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the performance cultures life of Bannermen in the mid-late Qing dynasty.

목차

1. 머리말
2. 旗人의 경제적 여건과 시간적 여유
3. 공연문화의 종류
4. 공연장소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형섭(Choi, Hyoung-Seob). (2022).《閒窓錄夢》에 나타난 旗人들의 공연문화. 중국소설논총, (), 157-183

MLA

최형섭(Choi, Hyoung-Seob). "《閒窓錄夢》에 나타난 旗人들의 공연문화." 중국소설논총, (2022): 157-1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