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임신중지, 영화, 정동정치

이용수 13

영문명
Abortion, Film, Politics of Affect: Affect in ‘Pro-Choice’ Films and the Films Practicing the Alternative Politics of Affect
발행기관
한국문화연구학회
저자명
김혜진(Hyejin Kim)
간행물 정보
『문화연구』제12권 제1호, 33~65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동시대 세계적으로 제작되고 있는 임신중지를 전면으로 다룬 극영화, 시리즈, 다큐멘터리 작품들이 검은 시위가 촉발되고(2016년 9월) 낙태죄 헌법불합치 판결이 난(2019년 4월) 2010년대 후반 이후 현재까지 한국 대중에게 글로벌 OTT 서비스의 대중화와 맞물려 활발하게 소개되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명시적으로 혹은 묵시적으로 여성의 선택과 임신중지권을 지지하는 입장을 취하지만, 임신중지여성의 피해자성을 강조하고 임신중지 경험의 고통과 수치의 정동을 반복 생산하기도 한다. 예컨대, 임신한 신체와 모성적 애통함을 불가분한 것으로 결부시키거나 임신중지 과정에서 겪는 극심한 신체적 고통을 전율에 이르게 할 정도로 촉각화거나 구체적 행위 없이 몸의 드러냄 그 자체에 따른 수치의 정동을 임신중지 경험 내내 지속시키도 한다. 에리카 밀러는 ‘선택(Chice)’의 정치가 임신중지를 반대하느냐 아니냐를 막론하고 절박한, 애통한, 수치스러운 감정을 임신중지의 경험으로 자연화, 탈정치화, 규범화한다고 비판하면서, ‘감정’을 임신중지 정치의 핵심 문제로 놓는다. 본고는 이 논의를 ‘정동’의 차원으로 확장한다. 나아가 브라이언 마수미의 정동정치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다양한 영화 사례에서 반임신중지적 권력이 어떻게 정동적으로 작동하는지와 그에 대한 정동정치적 저항이 어떻게 시도되었는지를 살펴본다.

영문 초록

Since the late 2010s, when the Black Protests were sparked in Korea (September 2016)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ruled that criminalizing abortion is unconstitutional (April 2019), contemporarily and internationally produced films, series and documentaries focusing on abortion have been actively introduced to the Korean public alongside with the popularisation of global OTT services. Most of them explicitly or implicitly support women's choice and the right to abort, but they often perpetuate the suffering, shame, and victimization of women who undergo abortions. For exemple, they make maternal grief inseparable from the pregnant body, embody the excruciating physical suffering of the protagonist’s abortion to the point of making the audience shudder, or keep the protagonist (slut-)shamed, without cause, throughout the story of abortion experience. Erica Millar puts ‘emotion’ at the center of abortion politics, criticizing the politics of ‘choice’, whether anti-abortion or pro-choice, for naturalizing, depoliticizing, and normalizing desperation, grief, and shame as the experience of abortion. This article extends her ideas into the dimension of ‘affect’ and, building on Brian Massumi's discussion of politics of affect, explores affect via film, how anti-abortion power operates and the cinematic practices that resist it.

목차

1. 서론
2. 임신중지와 선택의 정치 그리고 정동정치
3. 프로-초이스 영화에 나타난 정동
4. 대안적 임신중지 정동 생산과 영화
5.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진(Hyejin Kim). (2024).임신중지, 영화, 정동정치. 문화연구, 12 (1), 33-65

MLA

김혜진(Hyejin Kim). "임신중지, 영화, 정동정치." 문화연구, 12.1(2024): 33-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