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과학 개념에 기반한 메이커 교육 활동에 대한 사례 연구

이용수 183

영문명
A Case Study of Maker Education Activity Based on Science Concept: Targeting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1호, 593~61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15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에 메이커 교육을 융합한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특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과학 개념에 기반한 메이커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6학년 과학동아리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사례연구로 참여관찰, 수업 장면 녹화 및 전사, 면담 및 사후 설문자료 등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면담 형식은 개방형 질문을 사용한 반구조화된 면담을 취하였다. 자료 분석 시에는 삼각 검증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메이킹-준비’ 활동 단계에서 아이디어의 수정과 퇴출이 반복되면서 아이디어가 발전하고, ‘메이킹-만들기’ 활동 단계에서 시행착오를 통한 지속적인 수정과 개선 그리고 진행 과정의 공유를 통해 산출물의 완성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메이커 역량은 ‘메이킹 수행’-‘협업’-‘통합적 사고’ 역량군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으며, ‘메이킹-만들기’ 단계에서 대화 밀도가 가장 높았다. 셋째, 메이커 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들은 ‘직접 만들어가는 경험을 통한 과학지식 이해 증진’, ‘주도적 참여를 통한 흥미와 몰입의 경험’, ‘공유를 통한 성취감과 도전의식 함양’, ‘협업이 메이커 활동에 미치는 중요성’을 경험할 수 있었다. 결론 과학 개념에 기반한 메이커 프로그램은 ‘직접 만듦으로서 과학 지식의 이해 증진’, ‘내적동기와 참여 제고’, ‘학생들의 협업과 창의ˑ융합적 능력 증진’의 효과적인 과학 교육 방법이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maker education programs based on elementary science content and analyze characteristics. Methods For this study, a mak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science concept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6th grade science club students. As a case study,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various data such as participation observation, class scene recording, interview and post-survey data. The interview format was a semi-structured interview using open-ended questions. When analyzing data, it was analyzed comprehensively by considering triangular verification. Result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ideas were developed as ideas were revised and expelled repeatedly in the ‘making-preparation’ stage, and the completeness of the output was improved through continuous correction and improvement through trial and error in the ‘making-producing’ stage. Second, the maker competency was found to be high in the order of the competency group of ‘performing making’ - ‘collaboration’ - ‘integrated thinking’, and the dialogue density was the highest in the ‘making-producing’ stage. Third, through the maker education program, students were able to experience “promoting understanding of scientific knowledge through their own experience,” “experience of interest and immersion through leading participation,” “cultivating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challenge through sharing,” and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to maker activities.” Conclusions The maker program based on the science concept can be an effective science education method of ‘improving understanding of scientific knowledge by making your own’, ‘enhancing intrinsic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and ‘promoting students’ creativity and convergence abil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과학 개념에 기반한 메이커 교육 활동에 대한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1), 593-613

MLA

. "과학 개념에 기반한 메이커 교육 활동에 대한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1(2022): 593-6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