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의 진로개발역량 잠재전이유형과 관련 변인 연구

이용수 443

영문명
A Study on Types of Latent Transition of Youth’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and Related Variables: Focused on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1호, 461~47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15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로개발역량에 따른 잠재집단을 유형화하고, 잠재집단 간 전이패턴 및 전이패턴을 예측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방법 분석자료는 부산교육종단연구(BELS: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1차(2016년, 중1), 5차(2020년, 고2) 자료이며, 최종 연구대상은 진로개발역량 16문항에 모두 응답한 1915명이다. 본 연구를 위해 잠재프로파일 및 잠재전이분석을 사용하여 각 시점의 잠재프로파일 유형 및 잠재전이패턴을 확인하고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통해 전이양상을 예측하는 변인을 탐색하였다. 결과 첫째, 중학교 1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은 적극적 진로설계집단, 소극적 진로설계집단 두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두 시점 간 전이패턴을 보면, 유지형과 변화형으로 구분되었다. 대체로 중학교 진로개발역량 잠재계층은 전반적으로 유사한 잠재계층으로 전이되었다. 적극적 진로설계집단이 유지되는 확률이 다른 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부적전이(적극적→소극적)확률은 29.4%였고, 정적 전이(소극적→적극적)확률은 36.4%였다. 셋째, 진로개발역량 잠재프로파일을 예측하는 요인은 중학교 1학년때는 상급학교 방문 및 입시설명회와 대중매체 및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정보수집 경험이었으며, 경험이 있을수록 적극적 진로설계집단에 속할 확률이 컸다. 고등학교 2학년의 경우, 학교진로담당교사와의 상담 경험이 있을수록 적극적 진로설계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두 시점의 잠재전이를 예측하는 진로교육경험 관련 변인은 없었다. 결론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잠재계층을 예측하는 변인은 다르며,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을 예측했던 진로교육 변인은 중학교와 고등학교 두 시점의 잠재전이패턴을 예측하지 못하였다. 학생에 대한 신중한 분석 없이 학교진로교육 관련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해선 안 되며, 각 지역에 맞는 진로교육프로그램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학생의 성장과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탐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classified youths living in Busan into different latent groups depending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and performed an analysis to identify what factors can be used to predict related patterns including a pattern of transition between latent groups. Methods In this study, we used the first wave (2016,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fifth wave (2020, seco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of data from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ELS). The subjects are 1,915 youths, who responded to all of the 16 questionnaire items concerni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We performed latent transition analysis to identify the latent profile types and transition between classes across two-time points. Subsequently,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was applied to explore variables that can be used to predict a transition pattern. Results First, the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seco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tive and passive career planning groups. Second, the patterns of profile transition between the two points in time were classified into two types: maintenance and change types. Generally, latent groups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in middle school transitioned into similar latent groups. The probability of maintenance was higher in an active career planning group than in other types. Of the subjects, 29.4% showed negative change, while 36.4% showed positive change. Third, th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f middle schoolers found that the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active career planning group if they had visited an upper school, attended a school admission briefing session or collected information from media and online communities. For the seco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a consultation with the homeroom teacher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 They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active career planning group if they had a consultation with the career teacher at school. Conclusions The variables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latent groups were different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ers, and there were no variables affecting the transition between the two points in time. What is emphasized in career experience needs to be different in each grad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청소년의 진로개발역량 잠재전이유형과 관련 변인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1), 461-474

MLA

. "청소년의 진로개발역량 잠재전이유형과 관련 변인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1(2022): 461-4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