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교육 전공 교과 수업에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하는 교수의 경험

이용수 316

영문명
Professor’s experience reflecting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Curriculum Clas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1호, 505~52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15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육 전공 교과 수업에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하는 교수의 경험에 관한 탐구이다. 방법 이를 위해 D 대학 유아교육과 교수 1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2020년 7월 15일부터 2021년 1월 26일까지 심층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개방적 코딩 방법을 통해 세그멘팅, 초기 코드의 발견, 심층 코드의 생성 과정을 통해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예비교사교육에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하는 어려움은 1) 개정 누리과정 방향에 대한 교수자의 경험 부재, 2) 주도적인 놀이 경험이 없는 학습자, 3) 비대면 수업상황에서 소통 부재이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교수자는 1) 현장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수용 정도에 발맞추기, 2) 놀이 사례로 접근하기, 3) 놀이하기 및 놀이를 지원하는 교사 역할로 체험하기를 예비교사교육에 반영하였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K 교수는 1) 교수가 놀이 지원하는 유아교사 모델링 제시하기, 2) 다양한 집단 유형에서 놀이하기, 3) 동시에 다양한 매체로 놀이하기, 4) 활동과 놀이 병행하기, 5) 놀이 의미를 체험하는 기회 갖기가 필요함을 깨달았다. 결론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따른 예비교사 교육자의 책무성과 그에 따른 다양한 노력이 뒤따라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a narrative inquiry about experience of professors reflecting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Curriculum Class. Methods For this study, one professor fro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D University was target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rom July 15, 2020 to January 26, 202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ductively through the process of segmenting, discovery of initial coding, and in-depth coding generation through an open coding methodology.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ifficulties in reflecting the revised Nuri course in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re the instructor's lack of experience in the direction of the revised Nuri course, the learner without leading play experience, and the lack of communication in non-face-to-face classes. In spite of these difficulties, the instructor reflected 1) keeping up with the acceptance level of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in the field, 2) approaching it as a play case, 3) playing and experiencing the role of a teacher who supports play in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 the reuslts of these studies, Professor K found that 1) presenting an early childhood teacher modeling that the professor supports to play, 2) playing in various group types, 3) playing with various media at the same time, 4) combining activities and play, 5) it is necessary to have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meaning of play.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responsibilities of pre-service teacher educators and various efforts should be followed in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유아교육 전공 교과 수업에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하는 교수의 경험.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1), 505-524

MLA

. "유아교육 전공 교과 수업에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하는 교수의 경험."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1(2022): 505-5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