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 현장의 의견 분석과 차기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탐색

이용수 227

영문명
Analyzing the opinions of the educational field o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 curriculum and exploring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for the next curriculum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1호, 911~93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15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교육 현장 적용 실태를 분석하고 차기 실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첫째, 문헌 분석을 활용하여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영역, 성취기준의 구성과 특징을 분석하였고, 둘째, 교육청 및 교육지원청의 초등학교 교육과정 업무 담당자 및 전국 17개 시⋅도별 초등학교 규모별 3%를 무선 표집하여 교원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셋째, 두 차례에 걸쳐 8명의 초등 교사 및 장학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문헌 분석 결과, 2015 실과 교육과정 전반에서 실과 교육의 성격이 적절히 반영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설문 조사 결과에서는 현재와 같이 5-6학년에서 가정, 기술, 정보를 실과에서 통합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가장 많이 도출되었다. 셋째, 면담 조사 결과에서는 실과 교육 내용에 대하여 일상생활과 관련성이 적고, 실습 시간 및 환경이 부족하여 지도하기 어려우며, 타 교과와 중복되고, 교과 내 영역 간 기계적인 통합이 이루어져 있다는 인식이 나타났다. 결론 이상을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차기 실과 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하여 관련 교과 간 상호 소통, 교육 내용의 적정화, 실습 가능성 확보 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applica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explore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for the next curriculum. Methods First, Using literature analysis,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istics, goals, area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 curriculum were analyzed. Second, the supervisors of the Office of Education and the Office of Education Support and 3% by the size of elementary schools in 17 cities and provinces nationwide were randomly sampl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for teachers and parents. Thir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7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1 supervisor.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literatur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ractical education was not properly reflected throughout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 curriculum. Second,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most common opinion was that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Home Economics, Technology, and Information in Practical Arts for grades 5-6. Also. Third,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survey, it was revealed that the contents of Practical Arts had little relevance to daily life, the insufficient practice time and environment, overlapped contents with other subjects, and had not enough integration between the areas within the subject.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the next Practical Art curriculum, this study suggested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related subjects, appropriateness of educational contents, and securing the possibility of practi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교육 내용 분석 결과
Ⅳ. 설문 조사 및 델파이 조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 현장의 의견 분석과 차기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1), 911-932

MLA

.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 현장의 의견 분석과 차기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1(2022): 911-9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