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교양교육에서 인류세(Anthropocene) 위기의 심화와 대응방안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이용수 218
- 영문명
- A Focus Group Interview on the Deepening of the Anthropocene Crisis and Countermeasures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1호, 649~66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15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대학 교양교육에서 인류세가 지구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인식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통해 인류세 위기의 심화와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법 D대학교 2021학년도 2학기 OOO연구소 인류세 프로젝트 참여자 14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총 4회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모든 자료는 전사과정을 거쳐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인류세의 ‘어제’, ‘오늘’, ‘내일’ 등으로 3개 주제, 10개 의미범주, 20개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인류세 어제’에서는 ‘인류세’를 생소한 단어로 인식하였으나 본 프로젝트를 통해 인류세 위기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주변을 돌아보는 성찰의 계기가 되었고, ‘인류세 오늘’에서는 인간의 활동으로 인류는 대가를 치르고 있고, 이로 인해 기상이변, 환경파괴, 쓰레기섬을 확인함으로써 인류세 위기심화에 우려를 표출하였다. ‘인류세 내일’에서는 인간의 활동에 대한 반성, 개인과 국가 차원에서 관심과 실천 그리고 장기적인 대응방안으로 인공돔, 인공태양, 냉동방주, 교양 인류세 콘텐츠 등을 제안하였다.
결론 대학 교양교육에서 인류세 지구환경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봄으로써, 인류세를 초래한 근본원인과 해결방안에 대한 통찰을 통해 지구생태의 위기를 이해하고, 인류세 문제대응과 관련하여 대학생으로서 실천활동으로 연계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Recognizing that anthropolog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global environment at the level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we intend to seek ways to deepen and respond to the anthropological crisis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Methods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four times for 14 students of the Anthropocene Project at OOO Research Institute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1 at D University. It was conducted four times in consideration of the ethical aspects of the study participants, and all data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through the transcription process.
Results Three themes, 10 semantic categories, and 20 semantic units were derived from the Anthropocene's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In “Anthropocene Yesterday,” “Anthropocene” was recognized as an unfamiliar word, but through this project, it becam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environment with awareness of the anthropocene crisis, and in “Anthropocene Today,” mankind is paying a price for human activities. As a result, concerns were expressed about the deepening of the anthropological crisis by confirming weather changes,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garbage islands. “Anthropocene Tomorrow” proposed artificial dome, artificial sun, frozen ark, and liberal arts anthropocene Contents as reflections on human activities, interest and practice at the individual and national level, and long-term countermeasures.
Conclusions By examining various aspects of the global environment of the Anthropocene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the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understands the crisis of global ecology through insights into the root causes and solutions that led to the Anthropocene proble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11호
- 비대면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셀프리더십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협력적 자기조절,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팀 효능감,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에 대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 한글 문해 앱(App) 제작에 기반한 스마트폰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활용 가능성 탐색
- Early childhood teacher certification in major countries: criteria and curriculum
- 역량중심 교양교육 실현을 위한 CQI 적용 및 성과 분석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아동기 부모애착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진로개발역량 잠재전이유형과 관련 변인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 적응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The Effectiveness of Experiential Hygiene Education on the Attitudes Toward and Practice of Personal Hygiene Among the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코로나 19 장기화에 따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가정양육 경험에 관한 연구
- 현직 유아교사의 ‘유아 원격교육에서의 유아교사’에 대한 이미지
- The Impact of Korean University Restructuring on the Employment of NESTs and NNESTs
- 직무역량 기반 블라인드 이력서 작성을 위한 모바일 인터페이스 설계
- 온라인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적극성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관계
- 종양전문간호사의 노인 암환자 케어 코디네이션 경험에 관한 내용분석
- 토픽모델링을 통한 우수 원격수업 특성 및 요소 연구
- 중⋅고등학생용 학생주도성 측정 도구 개발
- 읽기부진 학생을 위한 ‘개에게 책 읽기 프로그램’의 교육적 개입 모형 탐색
- 부모의 결혼만족도, 초등학생의 부모애착, 자아탄력성, 자아정체감, 학교적응 간 구조적 관계
- 글쓰기 교육에 참여한 지구과학교육 전공 교사들의 SSI 교수에 대한 인식 및 글쓰기에 나타난 논증 구조 분석
-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 1학년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플로리싱 관계에서 인지적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 과학 개념에 기반한 메이커 교육 활동에 대한 사례 연구
- 중급상담자의 의미 있는 관계 경험과 개인적 성장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아교사의 교육신념과 교사역량이 유아의 2019 개정 누리과정 교육내용 경험 정도에 미치는 영향
- 소규모 초등학교 교사의 학년 통합 체육수업 경험과 교육적 의미
- 역함수의 존재성에 관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이해
- 전문연주자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공연몰입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특수교육 분야 국내 내러티브 탐구 동향분석(2000~2021)
-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수업 참여도 및 전공 만족도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부모의 비일관적 양육태도와 청소년 행복감의 관계에서 주의집중과 그릿의 매개효과
-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영향요인 탐색
- 대구⋅경북권 초⋅중등학교 현직교사의 융합수업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조사 연구
- 임상수행능력 강화를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병합 간호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대학 온라인 팀 학습에서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의 일치유형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헌혈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이 감성지능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직적성의 매개효과
- 여고생의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간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성인의 인정욕구와 사회불안의 관계
- 대학생들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진로 결정수준 간의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 유아교육 전공 교과 수업에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하는 교수의 경험
- COVID-19로 인해 전환된 화상상담의 내담자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연구
-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 현장의 의견 분석과 차기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탐색
- 컴퓨터 기반 협력학습에서 사회적으로 공유된 조절을 지원하는 시각화 도구 및 학습성과 분석
- 대학생의 정신건강, 디지털 사회자본, 디지털 리터러시, 스마트폰 의존도, 학습몰입과의 구조적 관계
- 한 중년전환기 직장인의 장기근속 후 이직 결정 경험 연구
- 머신러닝을 활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지표 예측 모형 개발연구
- 고등학생들의 주제 탐구 논술에서 논증 형식 변화 분석
- 국내 상담학 분야의 현상학적 연구 동향 분석(2010~2020)
-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 학업소진, 사회적지지 다중매개 분석
- 대학 교양교육에서 인류세(Anthropocene) 위기의 심화와 대응방안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 학생 수요 기반 교양교육 개선 방안 연구
- [Erratum]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 현장의 의견 분석과 차기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탐색
- [Erratum] 머신러닝을 활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지표 예측 모형 개발연구
- 학습자 주도 질문 활동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탐구
-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초등학교 취학 후 학업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게임 캐릭터 감정이입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