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좋은 대화의 상에 대한 고등학교 졸업 예정자의 인식 조사

이용수 390

영문명
A survey of high school graduates’ perception of good conversation: Classifying subjectivity types using Q methodology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장성민(Chang Sungmin)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3권 1호, 243~281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2.28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고등학교 졸업 예정자를 대상으로 좋은 대화의 속성에 대한 진술문을 수집하고,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인식의 주관성 유형을 탐색적으로 분류하였다. 예비 평정을 거쳐 확정된 70개의 진술문에 대하여 참여자 51명이 지닌 주관적 인식을 분류한 결과, 7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구적, 과제 지향적 차원보다 관계 지향적차원을 중심으로 인식이 형성되고 있었다. 둘째, 좋은 대화의 필요조건과 충분조건에대한 인식의 범주가 변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대화를 수행할 때 겉으로드러난 말이나 행동에 대한 인식과 신념, 태도, 가치 등의 속마음에 대한 인식이 변별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넷째, 스스로를 발신자가 아닌 수신자의 입장으로 설정하여‘말하기’보다 ‘듣기’에 초점을 맞춘 경우가 발견되었다. 다섯째, 상호교섭적 차원보다상호작용적 차원에 머무는 인식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주로 전통적인 면대면 의사소통 상황을 전제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연구는 실현된 교육과정으로서 화법교육의 성과가 학습자에게 어떤 배움의 형태로 남는가에 대한 문제의식을 구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statements about good conversation were collected from high school graduates, and the subjectivity types of perception were explored by applying the Q methodology. The subjective perceptions of 51 participants with respect to 70 statements which were confirmed through preliminary evaluation were classified to yield seven factor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ceptions were distributed primarily along the relation-oriented dimension rather than the instrumental and task-oriented dimensions. Second, the categories of recognition of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a good conversation were differentiated. Third, distinct recognition of outward words and actions, and inner thoughts such as beliefs, attitudes, and values when conducting a conversation was clearly displayed. Fourth, it was found that in good conversation, the focus was on “listening” rather than “speaking” by setting oneself as the receiver rather than the sender. Fifth, it showed that recognition remained at the interactional level rather than the transactional level. Finally, recognition was mainly based on the traditional face-to-face communication situ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s the awareness of the type of speech communication learning outcomes that is left as an attained curriculum.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성민(Chang Sungmin). (2022).좋은 대화의 상에 대한 고등학교 졸업 예정자의 인식 조사. 리터러시 연구, 13 (1), 243-281

MLA

장성민(Chang Sungmin). "좋은 대화의 상에 대한 고등학교 졸업 예정자의 인식 조사." 리터러시 연구, 13.1(2022): 243-2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