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성찰

이용수 1465

영문명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flection on the Class in the Covid-19 Situation: Focusing on Digital Literacy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노들(Deul Roh)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3권 1호, 171~20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2.28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 이후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할 때 교사들이 인식한 변화와 어려움을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탐색해보는 데 있다. 이에 따라 설정한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 나타난 변화는 무엇인가?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 겪은 어려움은 무엇인가? 셋째, 코로나 19 이후 초등교사들의 디지털 리터러시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서울시에 근무 중인 초등교사 8명을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이 증가하였으며(교수·학습 활동의 변화), 디지털 매체 기반의 협력 학습이 증가하였고(교수·학습 형태의 변화), 디지털 매체 기반의 평가가 증가하였다(교수· 학습 평가의 변화). 둘째, 학습자 간 디지털 리터러시 격차와 학습자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영역 내 격차, 교사의 낮은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셋째, 모든 교사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인지하게 되었으나, 그 시기와방법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의 필요성,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증진을 위한 실제적인 방안의 필요성,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학교의 물리적 환경 구축의 필요성을 제언점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nges and difficulties perceived by teachers when conducting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after COVID-19, focusing on digital literacy. The research questions set accordingly are as follows. First, what changes have emerged in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centered on digital literacy? Second, what ar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centered on digital literacy? Third, what is the change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after COVID-19? To this e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Seoul,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igital literacy activities increased (change i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cooperative learning increased (change in teaching and learning form), and digital media-based evaluation increased (change in teaching and learning evaluation). Second, there were difficulties due to the digital literacy gap between learners, the gap within the digital literacy area of learners, and the low level of digital literacy of teachers. Third, all teachers became aware of the need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timing and method. Based on this,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a curriculum for systematic digital literacy education, the need for practical measures to improve teachers digital literacy competency, and the need to establish a physical environment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들(Deul Roh). (2022).코로나 19 상황에서의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성찰. 리터러시 연구, 13 (1), 171-202

MLA

노들(Deul Roh).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성찰." 리터러시 연구, 13.1(2022): 171-2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