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 52시간 상한제 도입 효과 분석
이용수 582
- 영문명
- Effects of the 52-hour Workweek Policy: Focusing on Working Hour Reduction and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자료분석학회
- 저자명
- 심재선(Jae-sun Shim) 김호현(Hohyun Kim)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23 No.5, 2201~221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통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0.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주 52시간 상한제 시행 초기 효과로서 근로자의 실근로시간, 초과근로 비율, 만족도의 변화를 분석한다. 주 52시간 상한제는 근로자들의 과도한 근로시간을 줄여 삶의 만족도를 높이고자 도입되었고, 2019년 4월부터 근로자 300인 이상을 대상으로 부분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대부분의 근로시간 정책과 달리 법정 근로시간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최장 근로시간을 제한하는 정책으로써, 향후 정책의 효과가 어떻게 나타날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해당정책의 초기 효과 연구로서, 매년 노동자를 추적 조사하는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주 52시간 상한제에 적용을 받은 근로자뿐만 아니라 미적용 근로자에서도 실근로시간의 감소 및 초과근로 비율의 감소가 나타났다. 이러한 근로시간 감소 현상은 정책 전의변화 추세보다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따라서 정책 효과가 적용 및 미적용 근로자 모두에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실근로시간 단축에도 불구하고 근로자들이 느끼는 만족도가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정책의 효과가 제한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초과근로를 제한하는 정책의 초기 효과를 분석한 연구로써 학문적 의의가 있으며 발견된 실증증거들은 향후 개선 및 보완 정책에 관한 함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effects of the 52-hour workweek policy on working hours and satisfaction. The 52-hour workweek policy limits weekly working hours not more than 52 hours and it has been effective since 2019 to a subgroup of the firms with 300 or more employees. A difference-in-differences(DiD) method is employed to identify the olicy’s causal impacts. Results show that working hours are decreased for both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and this decrease is significantly greater compared to the previous decreasing trend. Moreover, a reduction in working hours is significant when a firm does not have a labor union. Importantly, we also find that several satisfaction measures related to working hour reduction have not been improved, suggesting more efforts of the government to develop labor policies are necessary to enhance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This study has contribution to the literature as one of the first attempts to analyze effects of the 52-hour workweek policy. It also provides several implications for policymakers.
목차
1. 서론
2. 기존연구의 검토
3. 연구 자료 및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5.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스타그램의 해시태그 및 위치 데이터를 이용한 클라이밍 활성화 실증분석
- Effects of Flipped Learning with a Team Project in Nursing Undergraduates
- 편의 보정 비모수 추정 기법을 이용한 에너지 수요 예측
- 측정오차로 인한 불완전한 측정 하에서의 결측값 대체
- Testing for House Price Bubble in Seoul, Korea
-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움직임의 효율성 비교분석
- A Statistical Generation Method of Association Rules by Inference of Diagnostic Test Index in Data Mining
- EDF를 이용한 국내산업 간 신용리스크 전이량 측정방안
-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척도 개발 및 타당성 연구: D 대학을 중심으로
- 김해지역 신도시 공동주택 주차장 이용실태 비교연구
- 복수학위 네트워크와 전공융합의 구조
- 대사증후군 위험 사무직 근로자를 위한 생활습관개선 코칭프로그램의 효과
- 간병 형태와 간호사 태도가 병원 입원환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학습유형, 시각화 경향성, 문제해결과정과의 관계
- 주거환경이 지속거주의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연구개발비 투자 정보의 질과 주식가치 간의 관계
- 투자위험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
- 주 52시간 상한제 도입 효과 분석
- 스마트시티 조성의 문제해결을 위한 프레임 분석
- 공동주택 주민의 자동심장충격기와 심폐소생술에 대한 인식과 태도 및 교육형태
- 도로 유형과 운전자 연령대에 따른 운전 시뮬레이터 멀미 차이
- 겨울철 도로기상 및 노면온도의 시·공간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 물류 네트워크 확보를 위한 국외 항만 선정 정보시스템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
- 다양한 대응분석을 활용한 농업인의 업무상 질병 관계 연구
- 한국 성인 여성의 비만과 대사증후군의 연관성
- 경제정책의 불확실성과 은행의 대손충당금 적립 행위
-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서식에 의한 대한민국 합천군 안금천의 수질 평가
- 라이브 커머스 플랫폼의 행위지원성과 원천 특성이 지각된 쇼핑 가치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시방법, 필러 유사성, 연령의 삼원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한 라인업 정확성 분석
- 점심 회복활동이 직무열의를 통해 조직시민행동으로 가는 매개모형 연구
- 분기이익 품질의 차별성에 관한 연구
- 내부 기업지배구조가 재무곤경위험에 미치는 영향
- 계획된 행동 이론을 활용한 창원시 불법 주차의식 구조분석
- 2단계 집락추출법에 의한 혼합 승법 양적속성 확률화응답모형
- 주민 주거만족도 차이 검증에 따른 주택정책 방향
- Machine Learning Techniques with Item Response Data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5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