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복수학위 네트워크와 전공융합의 구조

이용수 100

영문명
Dual Degree Network and the Structure of Inter-department Convergence: Application of Social Network Analysi
발행기관
한국자료분석학회
저자명
정동일(Dong-Il Jung)
간행물 정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23 No.5, 2229~2245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통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0.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4년제 대학생의 복수학위전공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학과 간 융합의 구조와 특징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둔다. 구체적으로 2019년 『GOMS』 자료와 사회네트워크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복수학위전공 네트워크의 거시적 특징, 계열 간 융합의 구조, 네트워크에서 각 학과가 차지하는 위치와 역할 등을 분석했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복수학위전공 네트워크는 중심부와 주변부가 명확히 분화된 위계적 구조를 보이며, 중심부의 높은 응집성은 이행형 삼자관계의 중첩적 결합에 그 미시적 기초를 두고 있다. 둘째, 계열 내 연결에 비해 계열간 연결의 비중이 3배가량 높았으나, 계열 간 연결은 경영학 중심의 경영계열과 학문적 다양성이 높은 사회과학계열로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부 계열을 제외하면 계열 간 전공융합이 그렇게 활발하지 않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블록모델링을 수행한 결과, 총 9개 블록이 나타났는데, 이들 블록은 네트워크에서 수행하는 역할에 따라 자족형, 순환형, 배출형, 징검다리형, 저수지형 등 5개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결과는 전공 간 융합의 형태가 매우 다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연구를 토대로, 향후 개별 전공의 구조적 속성, 나아가 주전공-복수전공 쌍의 네트워크 특성이 복수학위전공자의 노동시장 성과 및 경력 경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심도 있게 탐구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urports to explore the structural features of inter-departmental convergence by examining the dual degree network emerging from a collection of university students’ choices of minor fields. In so doing, the paper used GOMS data (2019) and applied social network analysis, investigating the macro-structure of the dual degree network, sub-structure of intra- and inter-college ties, and the roles and positions each department occupies in the network. The dual degree network is found to be scale-free, with the strong segregation between core and periphery, which results from overlaps of cohesive triadic relations among a few core departments and relatively sparse network among peripheral departments. In addition, the blockmodeling reveals that departments can be grouped into nine blocks with five different network roles (independent, circular, distributor, linking, and reservoir), suggesting that departments can perform at least three different roles in knowledge convergence in universities; core platform, brokering convergence, short-distance convergence.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is suggested: how structural features of the department an individual student selects for minor such as centrality, ego-homophily, and major-minor distance can affect students’ labor market performance and career development.

목차

1. 서론
2. 기존 연구 검토 및 분석전략
3. 자료 및 분석방법
4. 복수학위전공 네트워크
5. 맺음말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동일(Dong-Il Jung). (2021).복수학위 네트워크와 전공융합의 구조.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23 (5), 2229-2245

MLA

정동일(Dong-Il Jung). "복수학위 네트워크와 전공융합의 구조."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23.5(2021): 2229-22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