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위계적 남성과 박탈된 여성, 그리고 약자의 연대와 위로

이용수 141

영문명
Hierarchical men, deprived women, and solidarity and consolation - 「Sook-Hyang-Jeon」 Reading comprehension and education perspective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한의숭(Han, Eui-Soong)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88집, 33~6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숙향전」에 나타난 가족 구성원의 관계 양상에 착목하여, 문학적으로 형상화 된 가족 구성원의 관계 가운데 부녀 사이를 주목한 것에 해당된다. 「숙향전」에 포착된 부녀 관계는 친부인 김전과 숙향, 의부인 장승상과 숙향의 관계가 주목되는데, 불안한 삶에 노출된 딸을 보호할 책임이 있는 아버지가 오히려 불안을 가중시키는 주체로 설정되어 있다. 아버지라는 이름으로 자행되는 딸에 대한 박탈은 아버지와 가문이라는 권위를 유지하기 위해 작동된다. 혈연으로 얽혀있는 부녀 사이라도 아버지와 가문의 위상에 도움이 안 된다면 가족이란 관계로 지속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가족의 허상을 폭로하고 있다. 이점은 비단 아버지와 딸의 관계뿐 아니라 남편과 아내의 관계에서도 동일하게 작동한다는 점에서 의미심장하다. 한편 「숙향전」에서는 아버지로부터 유기된 숙향을 돕는 조력자의 존재가 또한 눈에 띈다. 이들은 새와 같은 동물 또는 사회적 약자의 형상으로 현신한다. 노인을 제외한 대부분은 여자아이, 늙은 할미 등과 같은 여성으로 등장하는 반면 기득권 세력을 대변하는 남성이 조력자로 비중 있게 소환되지 않는다. 숙향과 사회적 약자들의 관계는 도움을 주고받는 관계 속에서 미력한 존재가 가치를 인식할 수 있고, 주고받음을 통해 서로에게 의지하고 연대하는 것의 의미가 어떤 것인지 보여준다. 조력자들은 사회 체제 속에서 허약하기만 한 여성의 현실을 직시하고 일종의 휴식처와 같은 존재로 역할을 수행하였다. 사회적 약자라는 동일한 처지에서 한 여성에게 가해지는 고통을 외면하지 않고 그들이 할 수 있는 위로의 방식을 통해 연대의 가치를 실천에 옮긴 것이다. 「숙향전」에서 재조명해야 할 부분은 바로 여기에 있으며, 숙향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들의 관계가 일방적 위계가 아닌 조력과 보은이라는 인정과 공존으로 형상화되고 있는 것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숙향전」에 그려진 고난과 핍박은 전통시대 여성의 박탈된 삶을 운명론이란 명분으로 희석시킨 여성의 현실을 응시하고 재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것이 결혼 이전에 집중적으로 설정된다는 점에서 미혼 여성에게 가해지는 사회적 압력과 구속이 가족 내외부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된 문제였음을 보여준다. 이점은 「숙향전」을 독해하는 시각에서 여성과 딸에 대한 편향성을 통해 상호 평등에 기초한 주체적 인간의 성장이 가족의 가치를 드러내는데 중요한 요소로 연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숙향전」을 가지고 고소설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부분이 바로 여기에 있다. 이른바 젠더 교육과 관련하여 가정․가문소설 계열 작품이 재설정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것은 당대 사회의 현실을 착목한 것이며 문학적으로 구현된 실제에 해당된다. 하지만 이점은 오늘날과 다른 것에 주목하는 이유를 환기시킨다. 왜 다르고, 무엇이 문제인가? 이런 측면에서 「숙향전」은 남성과 여성, 특히 아버지와 딸의 관계를 중심으로 독해했을 때, 위계와 박탈, 고난과 화해가 연속되는 부녀의 관계가 새롭게 조명될 수 있다. 혈연이지만 부권 가문 중심 위계가 강력하게 작동하는 관계란 점에서 가족인 듯 아닌 듯 점철된 부녀의 형상은 고난의 연속인 여성의 삶을 강조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이점은 여성의 삶에 대한 인식이 여성의 몫이 아니라, 모두가 공감해야 할 현실이며 「숙향전」은 그런 측면에서 가족 구성원의 관계, 특히 부녀의 관계에 시각을 맞춘 독해가 요청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based on the relationship of family members in 「Sook -Hyang-Jeon」 and no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daughter among the literary figures of family members.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daughter captured in 「Sook-Hyang-Jeon」 is drawing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biological father Kim Jeon and his stepfather Jang Seung-sang, who is responsible for protecting his daughter exposed to anxiety. The deprivation of a daughter in the name of a father works to maintain the authority of father and family. It reveals the family s illusion in that even a father and a daughter intertwined with blood ties show that they cannot continue as a family if they do not help their father and family status.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works the same not only in the father-daughter relationship but also in the husband-wife relationship. Meanwhile, in 「Sook-Hyang-Jeon」 the presence of a helper who helps his father s abandoned is also noticeable. They are transformed into the shape of animals such as birds or socially disadvantaged people. While most of them appear as women such as girls and old grannies, it is confirmed that men representing vested interests are not summoned as assistants. The relationship between Sook-hyang and the socially disadvantaged has become able to recognize the value of insignificant beings in the relationship of help and experience what it means to rely on and unite with each other through exchange. Helpers faced the reality of a weak woman in the social system and acted as a kind of resting place. They did not turn a blind eye to the pain inflicted on a woman in the same situation as the socially disadvantaged, but put the value of solidarity into practice in a comforting way they could. This is where the re-examination of the 「Sook-Hyang-Jeon」 should be found, and the meaning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the relationship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including Sook-hyang, is shaped by the recognition and coexistence of assistance and return for a favor, not unilateral hierarchy. In this regard, the hardships and persecutions depicted in 「Sook- Hyang-Jeon」 are a reproduction of the reality of women who dilute the deprived life of women in traditional times in the name of fatalism. Given that it is set intensively before marriage, it shows that social pressure and restraint on unmarried women have been continuously raised both inside and outside the family. This means that from a reading perspective of 「Sook-Hyang-Jeon」, self-reliant human growth based on mutual equality can lead to an important element that reveals family values through bias toward women and daughters. This is where 「Sook-Hyang-Jeon」 can be used in Korean classic novel education, and works in the family novels need to be reset in connection with so-called gender education. It is a combination of the realities of society of its time and a literary embodiment. But the benefits evoke reasons for paying attention to something different from today. Why is it different, and what is the problem? In this respect, 「Sook-Hyang-Jeon」 can shed new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man and a woman, especially a father- daughter relationship, in which hierarchy, deprivation, hardship and reconciliation continue. Give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 and the daughter is strongly working, the shape of the father and daughter, which seems to be a family, emphasizes the life of women, a series of hardships. This is not a woman s perception of life, but a reality that everyone should sympathize with, and 「Sook-Hyang-Jeon」 requires reading comprehension that focuses on family members relationships, espec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daughter.

목차

1. 머리말
2. 딸과 아내를 박탈하는 아버지와 남편
3. 여성과 사회적 약자의 연대와 위로
4. 관계성으로 읽는 「숙향전」 독해와 교육의 시각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의숭(Han, Eui-Soong). (2021).위계적 남성과 박탈된 여성, 그리고 약자의 연대와 위로. 한국문학논총, 88 , 33-61

MLA

한의숭(Han, Eui-Soong). "위계적 남성과 박탈된 여성, 그리고 약자의 연대와 위로." 한국문학논총, 88.(2021): 33-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