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식민지 시기 김해강의 시에 드러나는 공간 표상과 근대적 감각

이용수 34

영문명
The Spatial Representation and Modern Senses in the Poems of Kim Hae-gang during the Colonial Period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이지영(Lee, Ji-Young)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88집, 63~8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식민지 시기 김해강의 시에 드러나는 공간 표상을 통해 식민지 현실에 대응하는 시적 감각을 추출한다. 김해강은 시대적 위기를 관철할 새로운 인식과 문학이 필요하다는 진단 하에, 식민권력에 의해 굴절된 내면을 근대적 감각으로 공간화 한다. 급변하는 도시의 메커니즘은 화려한 문물 이면에 이식된 근대의 모순과 기형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파편화된 사물과 현상들이 기하학적으로 배치되고 공감각적인 공간으로 재편되면서 권태와 환락의 식민도시를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파국의 감각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왜곡된 근대화가 고향에 투영되면서 또 다른 상실감과 박탈감을 부여하는 가운데, 동경과 이상적 공간으로서의 고향을 추구하는 향수의 이중성을 보여준다. 민족적 정체성과 원초적 질서를 지향함으로써 근대의 균열을 봉합하고자 하지만, 훼손된 요람인 고향은 복원 불가능한 곳이자 어디에도 거처할 수 없다는 자의식의 소산이다. 탈향의 감각은 북방으로 이어지면서 외지인으로서의 고립감과 향수를 증폭하는 한편, 민족적 비극이 자행되는 현실을 포착하며 식민권력의 폭력성을 드러낸다. 북방이라는 바깥은 국경의식과 더불어 탈-중심화를 통해 제국의 환상과 균열을 폭로하고 굴절된 내면을 환기하는 공간인 것이다. 이처럼 근대도시—고향—북방의 공간적 특질은 근대와 식민화가 상호 착종하는 양상을 첨예하게 보여주며 그에 부합하는 정서와 시대정신을 추출하고자 한 비평적 태도를 드러낸다. 새로운 감각의 공간적 조직을 통해 시대에 대한 문제의식을 확장하고 주체적인 생활을 추구한 문학적 실천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at extracting the poetic senses corresponding to the colonial realities through the spatial representation in the early poems of Kim Hae-gang. Kim Hae-gang, under the diagnosis requiring new senses and literature to go through the crisis of the era, spatializes the insides refracted by the colonial power with modern senses. The mechanism of dramatically changing cities included the paradoxes and anomalies of the modernity transplanted beyond the splendid civilization. The fragmented things and phenomena are geometrically arranged and reorganized into synesthetic spaces, and they could be the senses of catastrophes showing the colonial cities with malaises and mirths intensively. As distorted modernization is reflected to hometown, giving other senses of loss and deprivation, it shows the duality of homesickness to pursue hometown as the space of idol and ideal. By intending national identity and primitive order to seal the modern cracks, hometown, the damaged cradle cannot be impossible to retrieve and the result of self-sense not reside in anywhere. The sense of leaving hometown is connected to north, amplifying loneliness and homesickness as an outsider, captures the reality of national tragedy, and reveals violence of the colonial power. The outside of north, together with the sense of boundaries, is the space where discloses the fantasies and cracks of the empire and awakens the inside which is refracted, through de-centralization. Like thi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modern cities-hometown-north show sharply the perspectives of mutual complication of modernity and colonialization and critical attitudes to extract feelings and spirits of the era which were suitable to them. It could be literature practice expanding the consciousness of issues and pursuing subjective life through spatial organization of new senses.

목차

1. 서론
2. 근대 도시 공간과 파국의 감각
3. 훼손된 요람 ‘고향’, 그리고 ‘북방’이라는 바깥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영(Lee, Ji-Young). (2021).식민지 시기 김해강의 시에 드러나는 공간 표상과 근대적 감각. 한국문학논총, 88 , 63-88

MLA

이지영(Lee, Ji-Young). "식민지 시기 김해강의 시에 드러나는 공간 표상과 근대적 감각." 한국문학논총, 88.(2021): 63-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