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해방기 김학성의 초등용 100곡집 『노래모음』과 노래의 정전화

이용수 27

영문명
Kim Hak-Sung’s 100 Songs Collec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anonization of Songs in the Liberation Period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남영희(Nam, Young-Hee)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88집, 89~136쪽, 전체 48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0
8,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부산 음악인 김학성이 1950년 발간한 초등용 100곡집 『노래모음』의 구성과 체재를 통해 노래의 정전화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식민지시대부터 해방기까지 발간된 노래책 23권과 해방기 음악교재 25권을 실증적으로 비교·검토하였다. 『노래모음』은 예술성을 지향하기보다는 쉽고 재미있게 다양한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구성했다는 점에서 음악교양의 확산에 기여했다. 또한 해방기 부산음악사회의 역량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실체이며, 윤이상, 이상근과 같은 지역 작곡가의 알려지지 않은 곡을 수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수록곡을 식민지시대 창작동요, 해방기 창작동요, 창작가곡, 가요, 외국곡으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동심의 회복, 새로운 국가와 국민만들기, 역사의 되새김과 기념하기, 민족적 정서의 소환, 서구지향이라는 시대적 가치에 따라 노래가 창작되고 향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노래의 정전화는 국가와 사회가 그 시대의 의식과 정서를 구조화시키는 과정에서 이루어졌으며, 정전화된 노래는 새로운 사회적 가치와 의미를 구성했다. 이러한 점에서 근현대 음악문화사에서 정전화의 양상과 논리를 실증적으로 규명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mposition and format of 100 Songs Collec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published in 1950 by Kim Hak-Sung, a Busan musician, and to examine the aspect of canonization of songs through analysis of the songs. To this end, 21 songbooks published from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to the liberation period and 18 music textbooks publishe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ere empirically compared and reviewed. 100 Song Collection is valuable in that it is a substance that visually shows the capabilities of Busan music society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that it contains unknown songs by local composers such as Yun Isang and Lee Sang-geun. In addition, it seems to have contributed to the spread of music education in the region in that it was composed so that various songs could be sung in an easy and fun way instead of oriented towards artistry. The songs included were divided into traditional creative nursery rhymes, creative nursery rhymes after liberation, liberation songs and ritual songs, creative songs, foreign songs, and traditional nursery rhyme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songs were created and enjoyed according to the values of each era: restoration of children s hearts, creation of a new nation and people, reflection and commemoration of history, summoning of national emotions, and western orientation. Countries and societies in each era actively used songs to structure consciousness and emotions. In this process, new social values and meanings are constructed through canonized songs. In this respect, the necessity of more active canonical reflection could be suggested.

목차

Ⅰ. 들머리
Ⅱ. 초등용 100곡집 『노래모음』의 체재와 분류
Ⅲ. 초등용 100곡집 『노래모음』 수록곡의 정전화 양상
Ⅳ.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영희(Nam, Young-Hee). (2021).해방기 김학성의 초등용 100곡집 『노래모음』과 노래의 정전화. 한국문학논총, 88 , 89-136

MLA

남영희(Nam, Young-Hee). "해방기 김학성의 초등용 100곡집 『노래모음』과 노래의 정전화." 한국문학논총, 88.(2021): 89-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