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박탈과 증오의 바람

이용수 88

영문명
The Wind of Deprivation and Hatred - Focusing on (1968) Directed by Lee Man-hee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김만석(Kim, Man-Seok) 김필남(Kim, Feel-Nam)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88집, 243~27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이만희 감독의 영화 <휴일>을 당대 사회의 반영이나 재현이 아니라, 정동(affect)의 차원에서 분석함으로써 영화가 이데올로기나 선전도구가 아니라 자율적인 영역을 구축했다는 점을 주장한다. 달리 말해 <휴일>은 서사 중심의 영화가 아니라, 인물들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힘에 주목하며, 어디로 나아갈지 모르는 카메라의 힘이 운동하는 방향에 주목하고 있는 독특한 구조로 흘러가는 영화임을 분석하고 있다. 먼저 영화는 ‘휴일’이라는 시간을 출발점으로 삼고 있지만 쉼이나 휴식이 아니라 자본주의 체제의 지속을 위한 재생산(reproduction)의 시간임을 인물들 간의 관계를 통해 보여준다. 주인공 ‘허욱’과 ‘지연’은 가난한 연인으로 커피 한 잔 사먹을 돈이 없어 공원에서 데이트를 하고, 아이를 키울 형편이 안 돼 낙태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모욕적인 상황을 마다하지 않는다. 허욱이 낙태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친구들을 만날수록 걷잡을 수 없는 한계 상황으로 내몰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허욱의 친구들 또한 심심해서 처음 만난 여자와 섹스를 하거나, 술에 취해 있거나, 목욕을 여섯 번이나 하는 등 무기력하게 시간을 보내는 인물들로 그려진다. 그런 점에서 이 영화는 ‘휴일’이라는 시간이 진정한 휴식이 아니라 재생산을 위한 시간이며, 생산활동을 하지 않는 인물들은 극한의 상황에 내몰리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허욱은 휴일이 끝나갈수록 더 무기력해지고, 결국 혐오의 시선으로 자신을 바라보던 친구 ‘규제’로 인해 자기 파괴적인 증오의 감정을 표출하기에 이른다. 즉 영화는 허욱을 통해 휴일이라는 시간이 생산활동과 재생산의 세계를 파악하게 만든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사회적 불안정성이 증대되고 변동이 극심화 되어가는 1960년대 후반 기존에 자신이 누리던 지위나 위치를 상실할 경우 사회적으로 취약한 계급이나 계층은 무기력이나 증오의 감정에 더욱 취약할 수밖에 없음을 영화 속 관계들을 통해 분석하고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the movie, directed by Lee Man-hee, was analyzed not as the reflection or reproduction of the society of those times, but at the level of stillness and movements, and it was argued that the film had established an autonomous area rather than had been used as the means of ideology or propaganda. In other words, it was analyzed that was not a narrative- centered movie, but one focusing on the power generated i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haracters, and had a unique structure of paying attention to the direction of the camera s dynamic without knowing where it would head. First, the film begins with the time of ‘a day off’, yet it s revealed through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haracters that it is not rest or break, but the time of regeneration for the continuance of the capitalistic system. The main characters in the movie, ‘Heo Wuk’ and ‘Jiyeon’ are poor lovers, who have a date in the park because they don t have money for a cup of coffee and don t say no to insulting situations when they have to raise money for abortion because they can t afford to raise a child. We can see that the more Heo Wuk meets his friends to prepare to pay for abortion, the more he becomes forced into an uncontrollable critical situation. Heo Wuk s friends are also described as the figures spending time spiritlessly, having intercourse with a woman whom one meets for the first time because he is bored, being drunken, or taking a bath six times a day. In that sense, it can be proven that in this movie, ‘a day off’, doesn t mean true rest, but is just time for reproduction, and those not engaged in production activities are being driven into extreme situations. As the day off is drawing to its close, he becomes lethargic more and more, and ends up expressing the emotion of self-destructive hatred because of his friend, ‘Gyu-je’, who sees him with the eyes of disgust. That is to say, the film makes one figure out the time of a day off showing the world of production activities and reproduction through Heo Wuk. Lastly, in this paper, it was analyzed through the relationships in the movie that in the latter half of 1960s when social instability was increasing and changes were becoming severe, when one lost the position or status that one used to enjoy, the one belonging to the weaker class or rank in the society couldn t help but become more vulnerable to the emotions of lethargy or hatred and disgust.

목차

1. 바람을 채집하는 감독, 이만희
2. 정지한 시간과 이행의 발걸음
3. 박탈된 존재들의 정원
4. 증오와 혐오의 서식지: 도둑질과 사냥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만석(Kim, Man-Seok),김필남(Kim, Feel-Nam). (2021).박탈과 증오의 바람. 한국문학논총, 88 , 243-272

MLA

김만석(Kim, Man-Seok),김필남(Kim, Feel-Nam). "박탈과 증오의 바람." 한국문학논총, 88.(2021): 243-2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