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涵虛堂得通和尙語錄』 소재 日常詩의 開放性과 志向性

이용수 52

영문명
The study on the openness and directivity of The daily poetry(日常詩) in 『The Quotation from Great Seon master Hamheodangdeuktong(涵虛堂得通和尙語錄)』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전재강(Jeon Jaegang)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65輯, 239~277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문학사에서 함허문학이 차지하는 높은 비중함허득통화상의 문학이 한국문학사에서 차지하는 높은 비중의 근거는 고려의 불교문학을 이은 조선 초기 불가 문학의 대표적 성격을 보여 준다는 점과 그 문학이 보여주는 문학적 성취 자체가 높다는 점, 그리고 그 이후 조선 시대 불가 문학의 발전에 지속적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에도 불구하고 인물, 철학, 역사 방면 연구에 비해 문학 연구가 미진하고 논의할 과제가 많아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일부 이루어진 그의 문학에 대한 연구도 경기체가와 같은 시가 문학 작품에 집중되면서 그의 핵심작인 게송이나 한시에 대한 논의는 심도 있게 진행되지 않았다. 조선이라는 유교사회에서 창작된 일상시는 그가 禪師임에도 자기 이념에 경도되지 않은 일상을 담고 있으며 그 문학 전체를 이해하는 데에 중심 고리 역할을 하고 그 앞 시대와 대비에서 역사 변동의 실상을 잘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에 함허 일상시의 성격을 세 가지 측면, 즉 시에서 무엇을 시적 대상으로 가져와서 그에 대해 어떤 인식을 보이며, 어떤 정서를 주로 표출하고 여기에 사용된 표현법은 어떤 것인지를 논하였다. 먼저 함허가 시에서 주로 다룬 시적 대상은 인물과 사물, 이념으로 나타났는데 인물에서는 세간과 출세간의 다양한 인물을, 사물에서는 다양한 자연물과 인공물을, 이념에서는 儒佛道를 모두 시적 대상으로 수용하여 그에 대해 개방적이면서도 근본적으로는 인물에서 출세간, 사물에서 자연물, 이념에서 선의 세계를 추구하는 지향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시적 대상에 대한 두 가지 성격은 유교 사회에서 다양한 가치를 현실적으로 인정하면서도 禪師의 정체성을 가진 함허가 일체는 선적 존재 원리에 근거한다고 보고 선의 실현에 유리한 자연, 출세간 인물, 선적 이념을 지향하는 데서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함허가 지향 대상을 歌吟讚과 같은 별도 게송에 집중적으로 표현했던 것과는 달리 모든 일상시와 게송 작품에서 이를 전면적으로 드러냈던 선대 나옹화상의 시 세계와는 다르며 이것은 시대 변화의 시적 반영임을 확인하였다. 다음 시적 정서의 측면에서 자연 대상에서는 흥취와 기쁨, 인간에 대해서는 만남의 기쁨과 이별의 슬픔, 사회 현상에서는 사찰이 헐리는 참상을 보며 슬퍼하거나 진리에 무지한 사람을 보고 시대를 안타까워하는 정서, 유불도라는 이념에 대해서는 세 가지를 모두 긍정하고 이들이 수행을 통해 얻은 법열이라는 정서를 긍정하여 정서의 측면에서 역시 다양성을 보여 주었고 근본적으로는 일상적 기쁨의 정서와 선 수행에서 발생하는 법열의 정서를 지향하는 지향성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었다. 이 역시 지향적 정서를 별도의 게송에서 집중적으로 드러낸 함허와 달리 앞 시대 나옹이 법열과 같은 지향적 정서를 게송은 물론 일상시에서도 일관되게 표현한 것과는 대비되는 것이었다. 끝으로 시적 표현에서 함허가 일상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 표현법은 설명과 묘사, 서사, 비유 순으로 나타났다. 함허가 묘사를 빈번하게 사용한 이유는 그가 일상에서 가장 가까이한 자연을 그리기 위한 것으로 작품 전체나 작품 전반부에서 많이 사용했기 때문이고, 설명을 사용한 이유는 자신의 생활, 인물 칭송, 당부 등을 직설적 개념어를 가지고 직접적으로 드러내려 했기 때문이고, 또한 서사를 사용한 이유는 그의 스승이나 다른 인물, 자신의 삶을 드러낼 때 핵심적인 사건만 제시하기 위해 서사 기법을 구사했기 때문이고, 비유를 사용한 이유는 일상의 사물이나 수행과정, 수행 결과 깨달음의 세계 등을 대상을 통하여 간접화하여 드러내려 했기 때문이었다. 이 가운데 비유가 가장 적게 사용되었고 역설이나 상징은 그 보다 더 적게 사용되었으나 그는 궁극적으로 그가 몸담은 선의 세계를 드러내려고 하여 일상시 전체에는 적게 나타났지만 역설과 상징과 같은 수사를 사용하고자 하는 지향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는 별도의 게송에서 주로 선적 진리를 집중적으로 드러낸 함허 문학이 선적 진리를 일상시와 게송에서 두루 드러내면서 비유와 역설, 상징의 표현법을 가장 빈번하게 사용한 나옹의 문학과는 대비되는 것이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written in order to research for the openness and directivity of The daily poetry(日常詩) in 『The Quotation from Great Seon master Hamheodangdeuktong(涵虛堂得通和尙語錄)』 by three aspects. These three aspects consist of poetic object and poetic emotion, poetic expression. The study on the openness and directivity of his daily poetry is very important in understanding his whole literature and the historical changing of Monk’s poetry from Buddhist Korea dynasty to Confucian Choseon dynasty. Firstly, in aspects of poetic object, The Great Seon master Hamheodang- deuktong showed the openness and directivity about human being and nature being, ideology and so on in his daily poetry. He recognized the value of every human being and nature being, ideology by itself. But he wanted to pursuit the value of Seon Buddist in poetic object. Secondly, in aspects of poetic emotion, he expressed his various feelings, for example, pleasure, sadness, religious ecstasy in his daily poetry. But he basically wanted to pursuit The Seon Buddist ecstasy in poetic emotion. Thirdly, in aspects of poetic expression, he used many kinds of expression methods in order to show the poetic object and the poetic emotion effectively. The main expression methods are the explanation, description, narration, metaphor etc. But he eventually wanted to pursuit metaphor and paradox, symbol in order to express the Seon Buddist ecstasy and the true nature in poetic expression. Although my having researched for the openness and directivity of The daily poetry in 『The Quotation from Great Seon master Hamheodang- deuktong』 in three aspects, there could be the other subjects to study about these kinds of theme. I will continue researching for the other kinds of theme being related with this contents soon later.

목차

1. 序論
2. 詩的 對象의 開放性과 志向性
3. 詩的 情緖의 開放性과 志向性
4. 詩的 表現의 開放性과 志向性
5. 結論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재강(Jeon Jaegang). (2020).『涵虛堂得通和尙語錄』 소재 日常詩의 開放性과 志向性. 대동한문학, 65 , 239-277

MLA

전재강(Jeon Jaegang). "『涵虛堂得通和尙語錄』 소재 日常詩의 開放性과 志向性." 대동한문학, 65.(2020): 239-2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