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과 베트남의 題畵詩 比較 考察
이용수 68
- 영문명
-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Vietnamese Jehwasi(題畵詩): Focusing on 『sihagunchong詩學韻叢』 and 『hwangwolsiseon皇越詩選』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 저자명
- 임노직(Lim, No-Jig)
- 간행물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65輯, 325~361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제화시는 여러 장르가 융합된 관계로 작품에는 종합적인 심미 체험이 반영된다. 이 때문에 문학과 회화, 글씨의 관계를 살피고, 예술사를 이해하는 주요한 기준이 된다. 한국과 베트남은 중세 동아시아 한문문명권의 범주에서 역사적으로 유사한 경험이 많다. 유교가 지배 이념으로 채택된 국가로, 문학예술 분야에도 그러한 경향이 농후하게 드러난다. 본고는 베트남의 『皇越詩選』과 한국의 『詩學韻叢』에 수록된 제화시를 비교 검토한 글이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畵目을 중심으로 13편의 작품을 선정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몇 가지 점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두 나라의 제화시 분석을 통해 유사성과 차이점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에서 ‘유사성’은 모든 작품에 반영된 유교적 이념이고, ‘차이점’은 문학예술의 표현 기법을 의미한다. 둘째, 역사적 사건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두드러진 점이 발견된다. 예컨대 <出塞圖>에 대한 관점의 차이는 작자의 사회적 여건과 관련된 것으로 정치에 대해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셋째, 작가 의식과 관련되어 베트남은 사실주의적 경향을 보이고, 한국은 이상주의적 성향이 짙다는 점이다. 동일한 사건을 두고도 한국은 동경적 관념이 중심이 되고, 베트남은 그림 자체에 대한 묘사가 강조된다. 넷째, 주제 의식의 측면에서 한국은 보편주의적 성격이 기조를 이루고, 베트남은 자주적 성향이 농후하다. 베트남의 경우는 잦은 전쟁의 혼란 속에서 민족의 자주적 기상이 고취된 때문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한국과 베트남의 제화시는 작품 간에 상이한 성격 보다 유사한 구성원리가 발견된다. 동일한 갈래 속에 동화되어 있기 때문에 이질적인 요소보다 동질적인 측면이 더 많다. 그 원인은 동아시아 유교 문화권의 역사의식과 관련되어 진다. 이러한 관점은 한국과 베트남의 관계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한자문명권의 문화 예술에 대한 전반의 인식에도 적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요컨대 제화시의 원융한 정신이 문학의 갈래적 측면에서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의 보편적 미의식의 근거로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Jehwasi(題畵詩) is a fusion of several genres, so a comprehensive aesthetic experience is reflected in the work. Because of this, it becomes a major criterion for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painting, and writing, and understanding art history. Korea and Vietnam have many historical similarities in the category of Chinese civilization in Middle East Asia. As a country where Confucianism has been adopted as the dominant ideology, such a tendency is strongly revealed in the field of literature and art. This paper is a comparative review of Shoe Poems in Vietnam s 『皇越詩選』 and Korean 『詩學韻叢』 13 works were selected and analyzed centering on the same or similar subject.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several points. Firs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Jehwasi of the two countri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could be confirmed at the same time. Here, ‘similarity’ refers to the Confucian ideology reflected in all works, and ‘difference’ refers to the expression technique of literary art. Second, it is found that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historical events is relatively remarkable. The difference in perspective on <出塞圖> is related to the author s social conditions and raises fundamental questions about politics. Third, in relation to the artist s consciousness, Vietnam shows a realist tendency, and Korea has a strong idealistic tendency. Regarding the same incident, Koreans are centered around the idea of admiration, while Vietnam emphasizes the depiction of the painting itself. Fourth, in terms of theme consciousness, Korea is based on a universalist character, while Vietnam has a strong tendency to become independent. In the case of Vietnam, it is understood that the spirit of independence of the nation was raised amid frequent chaos of war. However, in Korean and Vietnamese Jehwasi, similar structures are found rather than different characteristics between the works. It is because they are assimilated in the same branch. Despite the detailed differences, there are more homogeneous elements than heterogeneous elements. The cause is related to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Confucian culture in East Asia. This aspect is expected to deepen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no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Vietnam, but also the culture and arts of the Chinese-Chinese civilization in East Asia. In short, it is expected that the original spirit of Jehwasi can be presented as the basis for the universal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in East Asia in terms of the branch of literature.
목차
1. 머리말
2. 詩學韻叢 의 제화시 분석
3. 皇越詩選 의 제화시 분석
4. 한・베 題畵詩의 비교 검토
5. 맺는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국어의 줄임말 현상에 따른 언어변이 양상과 문제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